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중이온가속기연구소 가속기운영부장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번 빔 인출 시험의 총괄책임자다. “조마조마했죠. 제가 총지휘를 맡았거든요. 빔 인출에 성공하려면 가속관에 영향을 주는 주변의 진동을 제어해야 합니다. 미세한 진동이 어디서 발생하는 건지 찾기 쉽지 않아 고생했죠.” 벽 너머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만약 비행기가 없었다면?’ 현대사회에서 이런 상상은 재미보다는 아찔함을 안겨준다. 문명의 이기를 누리는 것이 인간의 당연한 특권인데, 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누가 좋아하랴. 하지만 지금처럼 에너지와 자원이 빠른 속도로 고갈된다면 아찔한 상상은 현실이 될 수 있다. 우리 다음 세대는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그리고 최근 핫한 전기자동차까지. 오늘날 우리 주변에서 모터를 쓰지 않는 제품을 찾기는 힘들다. 그리고 모터에는 자석이 반드시 들어간다.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자석을 생각해보자. 그 주변에서 강력한 다른 자석을 회전시키면 축을 지닌 자석이 회전하면서 ... ...
- 최정담이 말하는 최-정-담,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고 싶지 않아!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고등학생 때 을 쓰면서, ‘수학책을 썼는데 수학 점수는 좋아야지’라는 책임감을 갖고 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기를 쓰고 수학을 많이 공부한다(웃음). Q. 그래도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에 진학했다. 내게 잘 맞는 학교여서다. 중학교 3학년 때 갑자기 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에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신뢰성은 낮지만 정확한 출처가 있는 정보는 신뢰성이 높은 것과 같은 맥락이다. 임 책임연구원은 “AI 신뢰성엔 사실일반성과 설명가능성, 공정성, 보안성 등의 카테고리가 있는데, 이 중 WebGPT방식은 설명가능성을 충족한다”고 설명했다. 만약 GPT-4가 WebGPT방식을 채택한다면 인간보다 더 똑똑한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달성한 생산 에너지의 8배에 해당하는 기록이었다. 마크 허만 LLNL 융합 프로그램 책임자는 당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실험 결과를 확인하고 기계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했는데, 분명한 성과인 것을 확인하고 샴페인을 한 병 땄다”고 말하기도 했다. 권 부장은 “당시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옮기는 드라마 장면을 보여준 뒤에, 남자 주인공의 행동 의도를 추론하는 방식이죠. 연구 책임자인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아직 과학적으로 활용할 수준은 아니고, 인공지능 성능을 평가하는 데 참고할 정도의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AI, 군수 분야 빠르게 침투 중 자율 드론, 자율 ... ...
- [인터뷰] “냉소적인 세계관을 만들고 싶어 숫자를 활용했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그것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은 장르라서 좋아요. 한편으로는 그런 설정을 설득시키는 책임감도 있어야 하고, 구성 하나하나 섬세하게 다뤄야 해 어렵기도 해요. 이번 작품은 명확히 SF 장르는 아니라서 당선 소식을 들었을 때 조금 얼떨떨했어요. 하지만 좋은 평가를 받은 이유도 이런 장르적 ...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반복해야 했다. “선형(배의 형태)을 개선하는 과정이 굉장히 빨라졌습니다.” 이 책임연구원은 빙해수조가 만들어진 뒤 이제는 3달이면 모형선을 만들고, 모형선의 성능까지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인프라가 갖춰지자 전문가들도 자연스럽게 더 많아졌다. 아라온호를 만들었을 때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기기를 조종할 수 있다보니 범죄에 악용되었을 때 범인을 찾기 힘들거나 범죄의 책임을 따지기 힘들 수도 있어요. 기계가 해킹당하면 기계에 연결된 인간의 정신까지 해킹되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정신적인 피해를 입을 우려도 있고요. 또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져 인간의 존엄성을 해칠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