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어린이과학동아
"
남아
"(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유리
기사
l
20240228
왕자의 눈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유리의 외부는 물에 직접 닿아 비교적 빨리 굳어 유리의 표면이 압축되고, 내부에 액체 상태로
남아
있는 유리가 서서히 굳어 수축하면서 외부의 굳은 표면에 붙어 큰 장력을 가진 상태로 남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 입니다. 영상--> https://youtu.be/efQTd80ImiY?si=-xkOgmqXSU ...
영원히 멸종된 동물 - 아프리카 편
기사
l
20240225
파란영양은
남아
공의 있는 유목민들의 사냥과, 그 유목민들의 가축들이 전염병이 옮기면서 개체수가 계속 줄어들었습니다. 게다가
남아
공의 들어온 유럽인들의 사냥으로 결국 1800년 완전히 멸종돼었습니다. 5.서부검은코뿔소 서식지:카메룬 멸종연도:2006년 멸종이유:사냥 이 서부검은코뿔소는 검은코뿔소의 아종입니다. 이 코뿔소는 뿔을 얻 ...
복숭아? NO! 봉숭아 키우기!
기사
l
20240225
안녕하세요 김규민 기자입니다. 전 식물을 엄청 좋아하는데요.봉숭아를 키워봤습니다.빨리 자라는 게 아무래도 영양제 많이줘서 그런가봐요.11일째 정도 됐어요.그리고 전설 중에 하나가 있는데 이번에 겨울에 봉숭아를 물들이고 첫눈이 올때까지까지 봉숭아물들인 게
남아
있으면 짝사랑이 이루어진다는 그런 전설이 있어요.전 초등학교 1학년이라 딱히 짝사랑하는 ...
요즘 끄적이고 있는 소설 일부분
포스팅
l
20240224
목검이 힘없이 부러졌다. 나무 조각들이 흩날리며 남자의 당황한 얼굴을 지나쳐 떨어졌다. 남자의 손에는 이제 반으로 갈라진 목검이
남아
있었다.“그래도 뭐, 생각보다는 재미있었어. 칼을 꽤 쓸 줄 아는 것 같더라?”소녀가 태연한 표정을 지으며 아직까지 배에 박혀있는 목검을 잡았다. 소녀가 힘을 주며 손을 움직이자 반쪽 목검이 힘없이 딸려 나왔다.“ ...
[기자의 체험] 경기북부 어린이 박물관(함께 그리고 공존)
기사
l
20240214
생분해성 조각들로 3D 프린팅 하여 만든 새 둥지가 있었습니다. 빈둥지 증후군에 관한 얘기를 하고 있는건데 떠나고 남는다면
남아
있는 것들은 허전하고 슬프겠지요... 종이 박스로 만든 책꽂이와 의자가 있어 잠시 앉아 책을 보았습니다.정말 튼튼해서 놀라웠습니다. 재활용이던 새활용이던 너무 멋진 아이디어 같았습니다. 새가 유리벽에 충돌하는 것 ...
도장 친구들이랑 놀러갔는데
포스팅
l
20240209
한입 얻어먹음 막 그림그리고 수다떨구 있었는데 친구 한명이 막 우리 좀 큰거같다고 했습니다 도장 가기전에 만난거라 아직 30분
남아
가지고 제가 우리 인생네컷 찍자고 했습니다 소품 고르는데만 15분 여민전 안되가지고 다른 친구가 결제했는데4000원 갚아야됩니다 다른 친구랑 전암튼 처음이라 신남 나중에 마라탕가자고 얘기도 나왔네요 핑크 잠바 ...
과목별 시험공부법 / 수학
기사
l
20240129
있어요! (비x교육- 최x위 탑) 문제집을 풀 때 중요한 것이 있어요! 저는 꼭 무줄 노트에다가 풀어요. 문제집에 바로 푼다면 푼 자국이
남아
다시 풀 때에도 답이 보이기 때문이에요. 푸시고, 정답지로 채점을 하시고(문제집에다 하시지 마시고 푼 노트에다가 해주세요!!), 틀린 문제에는 번호 아래에 작게 동그라미 그려주시요 :) 그러면 다시 ...
그 뭐냐 만화 그리던거 소설로 전환하겠습니다
포스팅
l
20240128
3번을 갈아엎다보니 제 체력이
남아
나지도 않고 제가 실력이 부족한것 같아 차라리 소설로 바꾸려고 합니다 진짜 3번을 똑같은 내용을 다시 그리니까 미칠 거 같아요 ...
눈은 왜 하양색인가?
기사
l
20240109
얼음이 불투명한 것은 공기층 때문이다. 물이 얼면서 빠져나가지 못한 공기가
남아
공기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얼음 속 공기층 표면에서 눈의 얼음결정에서와 같은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 흰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
왜 라면에는 찬밥일까?
기사
l
20240109
찬밥이 더 국물을 많이 빨아들이기 때문이다. 찬밥은 수분이 날아간 상태고 표면도 거칠거칠하다. 반대로 따듯한 밥은 수분이
남아
있고 표면은 매끈매끈하다.찬밥을 넣으면 국물을 많이 빨아들여 맛이 잘 배인다.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