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목구멍"(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은 살아있다!??(쥬라기 월드 특별시사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80711
-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김서진입니다. 쥬라기 월드 특별시사회가 지난 6월 30일(토) 용산 CGV아이파크몰11관에서 있었습니다. 어린이 기자단은 쥬라기월드-폴른킹덤 영화를 본후 박진영 공룡연구원의 강연을 들었어요. (여러분이 아시는 가수 박진영이 아닙니다.) 박진영 연구원 님은 처음에는 도마뱀연구를 하다 "아스파로사우르스" 를 발견했습니다. 그 ...
- 지상 최강의 파충류 '바다악어'에 대해서 아시나요?기사 l20171021
- 안녕하세요. 김태영 기자입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동물은 바다악어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지상 최강의 파충류인 '바다악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Pixabay) 악어는 턱 힘이 가장 센 동물로 유명한데요, 악어는 쥐라기 초에 나타난 파충류 프로토수쿠스의 후손으로 진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살아 있는 화석이라는 별명을 가진 파충류입 ...
- 사슴벌레의 짝짓기포스팅 l20170119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자곡초 2학년 남용현입니다. 저는 곤충을 아주 좋아해서 곤충관찰과 채집이 취미입니다. 저희집은 산과 아주 가까워 곤충이 많습니다 지난 여름 집근처에서 잡은 사슴벌레가 짝짓기를 하는 모습을 관찰해봤어요. 사슴벌레 암컷은 40mm 이고, 수컷은 54mm 입니다. 짝짓기 ...
- 한글날 기념! 한글 이모저모~기사 l20161009
- 학자들이 과학적이라 말하는 우리나라의 언어, 훈민정음(한글)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적은 자음과 모음의 수! 사람이 말을 할 때에 목구멍과 혀의 모양, 소리의 모양(?)과 여러 가지 좋은 뜻을 따라 만든 글자입니다. 그러나 한글도 지금의 한글과는 사뭇 달랐다는데요, 그 이야기들을 전해 드리겠습니다! 사람들은 한글을 고급적으로 말하면 훈민정음인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7회 김포장릉을 다녀오다 추존원종과 인헌왕후 이야기: 선조의 삐뚤어진 자식사랑기사 l20160424
- 지난 4월 3일 호지프활동(http://williology.blog.me/220673882394)을 겸해서 김포장릉을 방문했다. 이곳 김포장릉은 추존 원종 · 인헌왕후 장릉(章陵)으로서 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번지에 위치한 쌍릉이다. 1619년(광해군 11)에 선조의 왕자 정원군(원종, 1580~1619)이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에 양주 곡촌리(현 남양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420
- 조선의 제9대 성종임금의 첫 번째 왕비 공혜왕후가 잠들어 있는 순릉(順陵)은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삼릉로 89번지에 위치한 파주삼릉 내에 있다. 파주 삼릉 내에 있는 3기의 능 중에서 유일하게 왕릉의 형식으로 조성한 능이다. 왜냐하면 공릉의 장순왕후와 영릉의 진종과 효순 왕후가 모두 왕세자 혹은 세자빈의 신분으로 승하한 반면 공혜왕후는 중전의 신분에서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5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2편 영릉: 영릉, 세 개의 묘비가 말해주는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수소황후의 애달픈 이야기기사 l20160419
- 지난 3월 20일 다녀온 파주삼릉 중 두 번째 영릉의 이야기를 해보자.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순소황후의 영릉(永陵)은 파주시 조리읍 삼릉로 89번지 파주삼릉 내에 위치해 있다. 영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진종소황제, 오른쪽이 효순소황후의 능이다.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신분에서 세상을 ...
- 크리스마스에 퀴즈 하나 낼게요~^^ 아래 사진은 무엇일까요? 방긋 웃고 있는 모습이 다탐사기록 l20151224
- 크리스마스에 퀴즈 하나 낼게요~^^ 아래 사진은 무엇일까요? 방긋 웃고 있는 모습이 다 자랐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귀엽네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힌트는 1. 프랑스에서는 비올레Violet라고 합니다 2. 껍질의 울퉁불퉁한 돌기에 구멍이 나 있어요. 3. 입수공으로 플랑크톤을 받아먹고 출수공으로 물을 뿜으며 자랍니다 4. 미더덕과 같은 목에 포함되 ...
- 환경기념일에 대하여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 우리가 잘 모르는 환경기념일기사 l20150303
- 환경기념일에 대하여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매달 발렌타인 데이,화이트데이,빼빼로데이 등 사람들이 잘 기억하는 기념일이 있듯이 우리가 잘 모르고 지나가는 환경기념일이 거의 매달 있습니다.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고마운 지구를 위해 한 달에 한 번만이라도 지구에게 고마운 마음을 가지자는 의미에서 환경기념일을 정해줬다고 합니다. 환경에 관심이 많아서 여러가지 환경 ...
- 위대한 우리 유산 한글! 한글의 역사기사 l20150214
- 만들기 대작전'이 시작되었다. 먼저,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배우기 편한 언어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을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ㄱ'은 목구멍의 소리, 'ㅇ'은 아 소리를 낼 때 보여지는 입모양 등 우리 몸에서 찾을 수 있는 모양의 자음과 모음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더 나은 자음과 모음을 만들 수 있게 연구, 또 연구를 반 ...
이전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