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발명"(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히히히히힣(??)포스팅 l20220420
- 제가 이미 자랑을 한줄 알았는데 안했군요!인천 지역 말고도 다른데서도 하는지는 모르겠는데요,인천인지 청라인지 뭐 거기서 가림초에서 발명영재 어쩌구 저쩌구 하는데 4학년 대표로 시험봐서 5명 가는건데 제가 거기 됐거든요? 그래서 가림초에 가서 시험을 봤는데 40명만 뽑는데요! 그런데 거기에 운좋게 뽑혔습니닷!! 요즘 좋은일이 잔뜩 일어나다가 아주 ...
- [물질편]-고무의 역사기사 l20220417
- 가진 rubber라는 이름이 지우개에 붙게 되죠. 합성 고무의 역사 1840년 미국의 발명가, 찰스 굿이어가 유황에 의한 ‘고무 가황법’을 발명한 후에 고무 제조법을 탄생시켜 1850년 이후 영국의 고무 제조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고무가황법을 계기로 고무 공업은 이후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고 현재 다양한 종류의 ...
- 좋은일과 슬픈일이 있어요..포스팅 l20220416
- 저에게는 좋은일과 나쁜일이 있습니다. 안물안궁이시겠지만 슬픈 마음을 털어놓기 위해 포스팅을 씁니다. 먼저 좋은일은요.. 어제 발명 영재 어쩌고 저쩌고 가림초 시험 결과가 나왔는데 합격이었어요. 너무 신났죠.. 그건 딱 어제만이었어요. 오늘의 슬픈일이 이 기쁜일을 기뻐할 수 없게 만들죠.. 슬픈일.. 알려드리겠습니다. 궁금하지 않으시면 아래로 ...
- 플라스틱의 역사를 담백하게 알아보자!기사 l20220415
- 상금을 주겠다는 광고까지 내렸습니다^^. 그리고 5년이 지나서 미국 출신인 존 하이어트는 상아를 대신할 공의 물질, ' 셀룰로이드 '를 발명했습니다. 이 ' 셀룰로이드 ' 라는 물질은 상황에 따라 모양이 바뀐다는데요, 하지만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서 당구공으로 사용하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11년 뒤, 벨기에의 화학자 베이클랜드는 ' 베이클라이트 ...
- 핵무기의 폭팔원리 (원자폭탄편)기사 l20220415
- 나무위키 아인슈타인은 "자기가 한 일 중에 제일 후회스러운일이 핵무기의 발명을 도운 것이다" 라고 말했다. 그렇기에 무서운 핵무기(원자폭탄)에 원리를 알아보자!! 이제 원자폭탄의 원리를 설명하겠습니다. 첫째, 화약이 폭팔하면 원자폭탄에 있는 우라늄235나 플루토늄239를 흔든다. 둘째, 그러면 거기있는 중성자들 하나가 움직이면서 ...
- [이야기] 증기기관을 만든 사람기사 l20220410
-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이라고도 불린다) 10년경부터 70년경까지 살았던 인물로,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나 고대 이집트에서 활동하던 발명가이자 수학자다. 간단한 형태의 증기기관의 설계도를 남긴 인물이다. 헤론의 증기기관은 많이 주목 받지 않는 것으로 보아, 미약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제가 기사를 또 써봤습니다. 재미있으셨나요? 다음 번 ...
- 세계 최고의 미남 배우 알랭 들롱, 안락사를 한다고?!기사 l20220408
- 장치를 달고 있지 않다고 해요. 그럼 그는 적극적 안락사를 해야하는데요. 안락사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면서 이와 관련된 발명품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2018년 호주에서 적극적 안락사 캡슐 'Sarco'를 개발했습니다. 수면 마취 상태로 들어가 질소를 투입해 1분~ 5분 사이에 사망하게 됩니다. 출처: 여성 신문 이쯤 되면 과연 적극 ...
- 자율주행 기술! 레오나르도가 만들었다고?!기사 l20220331
- 기발한 발성을 하고 그걸 실천에 옮긴 다빈치를 대단하게 생각 되네요. 자동차가 발명 되기 훨씬 이전에 일이지만, 앞서 말했던 것처럼 조종 없이 원하는 길로 가는, 즉 현재 자율 주행 자동차와 목표와 같아요. 그럼 우리, 이 다빈체를 본 받아 세상을 더욱 더 좋게, 한 걸음 더 나아가려고 노력해봐요! ... ...
- 해명하겠습니다포스팅 l20220319
- 재밌어서 안 했습니다. 저는 처음 가입할 때, 너무나 순수한 바람에 실명을 사용해주세요에서 걍 막 지은 이름을 갖다 붙혔습니다. 굿컴이란것이 발명되고, 저는 이름을 바꾸려고 했으나, "내가 여기서 키워온 반모자들은 이름이 바뀌어도, 이름이 모르는 사람이 되면 반겨주지 않을거야."라는 두려움에 이름을 바꾸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제 진짜 이름 ...
- 카메라의 초기 역사기사 l20220318
- 이것은 사람들이 널리 쓰기 약 120년 전이었습니다. 그리고 1839년에 구리판을 이용한 루이 다게레의 다게레오타이프 촬영술이 발명되어 널리 사용합니다. 이게 카메라의 초기 역사입니다. 지금까지 이재진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