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당신
너
뉴스
"
그대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명 넘는 사람이 눈앞에서 가라앉아가는 모습을 온 국민이 지켜봤다. 그 충격과 한은 아직
그대
로다. 이번 인양은 그 한을 풀기 위한 시작일 뿐이다. 세월호 선체는 진도 팽목항에 전시돼 추모공원으로 사용될 계획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작년 12월부터 3개월간 50명이 넘는 연구자들을 투입해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원자력은 미래 에너지 가교 역할”
2015.06.10
한도희 본부장이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 세계과학기자대회 제공 소듐냉각고속로는 말
그대
로 소듐(나트륨)을 활용해 핵분열로 인해 생긴 열을 냉각시키는 차세대 원자로다. 소듐은 지구상에서 6번째로 풍부한 원소인 만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만하다. 박원서 ... ...
‘7080’ 대표곡 ‘연’ 발표 35년 만에 1집 앨범으로 컴백, 조진원 연세대 교수
2015.04.30
학생들과 교정에 핀 벚꽃을 보며 “우리 벚꽃 불 지르러 가자!”라고 외쳤던 대화도
그대
로 가사에 옮겼다. 우리 삶의 다채로운 순간을 담은 가사만큼 곡의 장르도 포크와 발라드, 로큰롤, 퓨전국악 등 다양하다. 첫 단독앨범 발표를 앞둔 27일 조진원 교수가 연세대 캠퍼스 안 청송대에서 기타를 ... ...
손가락 꼬는 순서만 바꿔도 통증 감소
2015.03.29
고통을 느꼈다. 반면 검지와 중지를 꼬아서 위치를 바꿔 주자 각 손가락이 느끼는 자극은
그대
로였음에도 느껴지는 고통은 크게 줄었다. 이번에는 검지와 중지를 꼰 상태에서 ‘따뜻함-차가움-따뜻함’ 순서로 자극을 줬다. 그러자 가운데 자리에 있는 검지에서 타는 듯한 고통이 느껴졌다. 즉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애인 관계의 살인사건은 107건(살인 49, 미수 58)이다. ‘삶이
그대
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말라.’ 러시아의 대문호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아내와 프랑스인 장교 단테스 사이에 추문이 퍼지자 결투를 신청했고 총상으로 사망했다. 진화심리학 이론에 따르면 ... ...
암탉이 수탉으로 ‘성전환’ 된다면?
2015.02.15
제공 ■ 조선왕조실록에 숨어 있는 과학 (이성규 著, 살림FRIENDS 刊) 드라마 ‘별
그대
(별에서 온
그대
)’로 유명해진 1609년 ‘UFO’ 출현 사건.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에는 이것 말고도 해괴한 사건들이 많이 기록돼 있다. “1720년 5월에 이우항을 찾아가 만났더니 이우항이 말하기를 ‘요사이 해 ... ...
“제 2의 지구, 이름이 뭐예요?”
동아사이언스
l
2015.01.06
어두워지므로 외계행성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지난해 방영된 SBS드라마 의 도민준(김수현 역)의 고향인 행성 역시 이같은 방법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외계행성의 이름은 'KMT184.05'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준비 중인 ‘외계행성탐사시스템(KMTNet)’의 이름을 땄다. 한편, 오는 1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모르겠지만 아무튼 그런 사람들이 꽤 된다는 게 놀랍다. 이런 사람들의 주장을 액면
그대
로 받아드릴 수 없다고 하더라도 아무튼 술이 센 사람들이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숙취와 알코올 중독은 반비례 관계가 있다고 한다. 즉 숙취가 심한 사람일수록 알코올중독에 빠질 위험성은 ... ...
[사이언스 브리핑] 2014 한국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外
2014.10.03
등 4개 부문에서 대상을 한 편씩 선정한다. 영화 ‘설국열차’와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 만화 ‘마인드 트래커’ 등 19개 작품이 대상 수상을 놓고 경합을 벌인다. ... ...
“전기 절약하느라 불편하셨어요? 이제 그러지 마세요.”
2014.09.17
질문을 던졌다. 정답은 ‘흙 위에 지은 온실’. 비닐을 통과한 가시광선은 유리에 반사돼
그대
도 밖으로 나가 버리는 반면, 가시광선을 흡수한 흙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비닐에 흡수됐다가 다시 방출되며 일부가 온실에 갖히기 때문이다. 온실에 빗댄 지구온난화의 원리에 대한 설명을 들은 학생들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