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놈
사람
남자
작자
싫은 놈
괴짜
인간
뉴스
"
녀석
"(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2017.06.06
실험 방법을 알려줬다. 즉 사육하는 여우의 행동을 면밀히 관찰해 그나마 공격성이 덜한
녀석
들을 골라 교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이때 근친교배가 되지 않게 짝을 지어줘야 한다). 참고로 여우는 일 년에 한 번 1월 경 발정해 짝짓기를 하고 4월에 태어난 새끼는 반년이면 다 자라므로 한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 “니들이 불가사리 맛을 알아?”
2017.06.03
때는 한 쌍이 공동작업을 한다. 앞에서 당기고 뒤에서 밀어주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이
녀석
들을 지켜보다 보면 과거 광고에 나왔던 문구가 떠오른다. 광대새우가 나를 보고 “니들이 불가사리 맛을 알아?”라고 한 마디 던지는 듯 하다. 불가사리가 정말 맛있는 것일까? 제임스정 ... ...
물 속에서 거대하고 온순한 ‘고래상어’를 만났다!
2017.05.28
있다. 바다에서 고래상어를 직접 만나기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다보니, 수중에서 이
녀석
을 만나면 행운이 찾아오고, 모든 일들이 잘 된다고 생각을 한다. 필자도 20년 이상을 다이빙을 하며 사진을 찍었지만, 고래상어를 만난 적은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제임스정 제공 여러분도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 갈치를 눈으로 맛본다고?
2017.05.06
볼 수 있다. 그것도 떼를 지어 몰려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바라쿠다(Barracuda)라는
녀석
들입니다. 물론 식탁에 올라오는 갈치와 같은 것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생겼다. 우리 말로는 ‘꼬치 고기’로 불리며, 몸에 줄무늬만 없으면 영락 없는 갈치 모양이다. 물속에서 바라쿠다를 만나면, 일단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눈이 크면 겁이 많다?
2017.04.09
유영을 할 수 있다. 눈이 커서 겁이 많다면 도망갈 텐데, 그렇지 않은 것 같다. 특히 이
녀석
들의 몸은 뭔가에 반응할 때 더욱 빨갛게 변한다. 수중 사진가들은 이 물고기들이 놀라서 빨갛게 변하는 모습을 찍곤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이런 환경에 적합한 캥거루나 굴드왕도마뱀 같은 동물들이 번성하게 됐다. 물론 이
녀석
들은 원주민의 사냥감이다. 실제 한 원주민 노인은 “캥거루를 위해 불을 놓는다”고 말할 정도다. 최근 농촌진흥청은 농부들에게 농사철을 앞두고 논두렁을 태우는 행위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불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특이한 돌연변이 생쥐를 얻었다. 이들은 식욕을 주체하지 못해 고도비만이 된 이
녀석
에게 뚱보(obese)라는 이름을 붙여줬고 줄여서 ob생쥐라고 불렀다. 이 형질은 열성으로 유전됐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식욕을 억제하는 유전자가 고장 난 결과라고 추측했고 이 유전자를 찾기 시작했다. 오랜 노력과 ... ...
무서운 곰치가 새우를 한입에 꿀꺽하는 장면이라고?
2017.03.18
곰치와 청소새우 - 제임스정 제공 청소 새우가 곰치와 어떻게 노는지 살펴봤다. 이
녀석
은 곰치 주변에서 주둥이 쪽으로 슬슬 걸어가더니 입 속으로 들어갔다. 곰치는 커다란 성문을 열 듯, 입을 쩍벌렸다. 청소 새우가 곰치 이빨 사이의 찌거기들을 제거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서로 ... ...
수영하다 바다뱀 만나면 어떻게 대처할까?
2017.03.05
가끔 숨을 쉬러 수면으로 올라오기도 하며 짝짓기 시즌에는 모여서 번식을 한다. 이
녀석
들은 겁이 많다. 물에서 사람을 보면 먼저 줄행랑을 친다. 보통 먼저 괴롭히지 않으면 공격 하지 않는다. 해안에서 스너클링을 하다가 바다뱀을 보면 놀라지 말고 슬쩍 피하면 된다. 더러는 뱀장어와 비슷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한편 까마귀과(科) 새들도 얼굴 인식 능력이 탁월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다가 이
녀석
들은 다른 종인 사람의 얼굴도 잘 식별했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우리 속담도 이런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즉 사람 왕래가 별로 없던 옛날 시골에서 낯선 사람을 보고 까치가 경계 신호를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