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종자
자손
뿌리
근본
혈통
정자
뉴스
"
씨앗
"(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75년 전 개발 ‘트랜지스터’가 가져온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전자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에서 시작된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응용과학의
씨앗
이 됐다. 전극 장치가 신호를 증폭하고 진공관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면서다. 이후 개발된 집적 회로는 반도체 칩당 트랜지스터 개수를 지속적으로 늘렸다. 트랜지스터당 필요한 비용과 전력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숲.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침엽수종은 씨방이
씨앗
을 담고 있는 속씨식물과 다르게
씨앗
이 겉으로 드러나 있는 겉씨식물에 속한다. 겉씨식물은 가장 오래된 종자식물로 고생대 후기(4억2천 ~ 3억 7천만 년 전)에 등장해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중생대에 번성했으나 점차 줄어 지금 남아있는 종은 ... ...
자국 코로나 백신 없는 日 '100일' 백신 개발 프로젝트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2.09.25
은 “이 이니셔티브는 일본 전역의 연구원들을 한데 모을 것”이라며 “미래 백신의
씨앗
을 찾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백신학자인 토시히로 호리 일본 오사카대 교수는 “일본에 백신 전문의가 많지만 대부분이 기초 연구원”이라며 “기초 연구에서 백신 개발로 이어지지 못하는 병목 현상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역시 용량에 따라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한다. 마전자(馬錢子)는 식물 마전의
씨앗
을 가리키는 한약재로,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경맥을 통하게 하는’ 약효를 지니고 있다. 마전자의 주성분이 바로 스트리크닌으로 중추 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 미량을 쓰면 경맥을 통하게 ... ...
식물분류학자가 팽나무에 보낸 연애편지
과학동아
l
2022.09.11
하는 광물로 돼 있어요. 신생대 4기에 출현한 이 나무는 대체 무슨 일을 겪었길래
씨앗
을 보호하기 위해 광물을 쓴 걸까요? 헤어나올 수 없었어요. 내가 온전히 알고 사랑하기엔 어려운 존재인 걸까 하는 아득함도 느꼈죠.” 허 연구원이 전공한 식물분류학은 식물의 작은 부분을 보고 먼 과거를 ... ...
[주말N수학] 절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
2022.09.11
두 입력값이 동일한 경우도 고려할 수 있겠어요. 그러나 이곳에 모순의
씨앗
이 숨어 있습니다. 아래의 프로그램 G를 살펴봅시다. G는 임의의 프로그램 z를 입력값으로 받습니다. 가정이 틀렸다? 여기서 질문을 하나 드려 볼게요. G에 G를 입력값으로 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G(G)는 정상 ... ...
[프리미엄 리포트]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6일 뒤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2.08.27
“이는 식물이 달의 토양 환경을 스트레스로 인식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씨앗
을 심고 16일 뒤, 달 겉흙에서 자란 식물(오른쪽)과 모사토에서 자란 식물(왼쪽)의 겉모습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UF/IFAS photo by Tyler Jones 제공 달 겉흙에서 자란 식물은 모두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내는 ... ...
달 레골리스 이어 탄소질 소행성 토양서도 작물재배 가능성 타진
연합뉴스
l
2022.08.01
식량농업과학연구소(FU/IFAS) 연구진이 지난 5월 달에서 가져온 레골리스에서 아기장대
씨앗
을 발아시켜 재배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한 데 뒤이어 나온 것이다. 이런 시도들은 유인 우주탐사 현장에서 식량 자원을 직접 확보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광합성 등을 이용해 산소 등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실체는? 멘델은 콩 모양과 색깔을 분석해 독립의 법칙을 알아냈다. 둘은 모체에 열린
씨앗
을 보고 형질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체를 키워야 알 수 있는 다른 형질들에 비해 손이 훨씬 덜 든다. 주름진 노란 콩(P1)과 둥근 녹색 콩(P2)을 교배해 얻은 1세대 잡종(F1)은 모두 둥근 노란 콩이다. 이를 ... ...
시베리아 툰드라 아예 사라질 위기…'최선' 다해도 30%만 남아
연합뉴스
l
2022.05.30
30㎞ 속도로 북상해 툰드라 지역이 계속 쪼그라드는 결과를 얻었다. 전이대의 나무는
씨앗
을 퍼뜨릴 수 있는 반경이 제한돼 처음에는 기후변화에 크게 뒤처지지만 나중에는 이를 따라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시베리아 툰드라는 2500년대에 현재의 6% 미만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