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사
구실
핑계
이수
뉴스
"
이륙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장거리 우주관광 우주선 발사 성공...전문 비행사 없이 민간인만 탑승 첫 사례
동아사이언스
l
2021.09.16
데 성공했다. 고도 107km에서 자유낙하하며 3분 정도의 짧은 무중력을 겪었다. VSS 유니티는
이륙
에서 착륙까지 90분이 걸렸지만 무중력을 경험한 시간은 3~4분 정도다. 크루드래건에 탑승한 민간인 승객 4명. 스페이스X 제공 반면 크루 드래건에 탑승한 승객들은 궤도를 비행하는 내내 무중력을 ... ...
고도 575km에서 사흘간 지구 도는 첫 장시간 우주관광 15일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데 성공했다. 고도 107km에서 자유낙하하며 3분 정도의 짧은 무중력을 겪었다. VSS 유니티는
이륙
에서 착륙까지 90분이 걸렸지만 무중력을 경험한 시간은 3~4분에 불과했다. 인스퍼레이션4에 참여하는 탑승자들이 크루 드래건 내부에 앉아 리허설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스페이스X 제공 반면 이번 ... ...
'폭발하고, 미끄러지고' 소형 발사체들의 연이은 실패…그래도 도전은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밝혔다. 파이어플라이는 “모든 임무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1단 엔진 점화,
이륙
, 초음속 진입 등 많은 목표를 달성했으며 상당한 양의 비행 데이터를 얻었다”며 “시험 비행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활용해 향후 임무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7월 우회상장을 통해 미국 나스닥에 ... ...
암스트롱 태웠던 달 착륙선 '이글' 아직 달 궤도 돌고 있을 수도
연합뉴스
l
2021.08.02
사령선 '컬럼비아'에서 떨어져나와 '고요의 바다'에 착륙했으며 21시간여 만에 다시
이륙
해 사령선과 도킹했다. 암스트롱과 올드린은 달에서 채집한 약 22㎏의 월석 시료를 사령선으로 옮겨 싣고 이글을 달 적도 상공 125㎞의 역행궤도로 떼어내고 귀환했다. 달은 질량이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DNA+드론 챌린지’ 대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수색 영상에서 실종자를 검출하는 것이 주요 임무다. 자유공모는 주어진 환경에서 자동
이륙
해 장애물을 피해 조난자를 탐색, 식별한 후 자율비행으로 복귀 및 자동 착륙이 주요 임무다. 아이디어 공모는 지속가능한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신개념 아이디어 및 기존 사업모델에 접목할 ... ...
블루오리진과 버진갤럭틱 우주관광 뭐가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이어지고 있다. 뉴 셰퍼드는 약 10분 전후의 짧은 여행을 진행하는 반면 VSS 유니티는
이륙
에서 착륙까지 걸리는 시간이 90분으로 길다. 하지만 우주 경계 부근에서 무중력을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은 둘 다 3~4분에 불과하다. 뉴 셰퍼드는 조종사가 없이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반면 VSS ... ...
억만장자 브랜슨은 정말 우주 다녀온 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11일(현지시간) 미국 뉴멕시코주 트루스오어컨시퀀시 인근 스페이스포트 우주센터에서
이륙
해 우주를 향해 날아오르고 있다. 버진갤럭틱 제공 브랜슨 회장이 탑승한 버진갤럭틱의 우주선 ‘VSS유니티’는 12일 0시 25분경(한국시간) 15km 상공에서 모선인 ‘VMS이브’에서 분리돼 로켓 엔진을 점화하며 ... ...
영국 억만장자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 우주선 타고 직접 시험 우주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갖고 있다. 약 1시간 동안 유니티2를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VMS이브는
이륙
약 50분 후 15km 고도에서 유니티2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모선에서 분리된 VSS 유니티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지구 대기의 끝 지점으로 간주하는 고도 50마일(약 80km) 이상인 90km까지 도달한 뒤 무중력 체험을 ... ...
항공기에서 위성 쏜다…버진 오빗, 첫 상업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7.01
현지시간으로 이날 오전 9시 53분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공항에서 태평양을 향해
이륙
했다. 10시 47분 런처원이 발사됐다. 런처원은 1단을 분리한 후 동체를 회전시키며 모든 면을 햇빛에 노출시켜 고르게 가열하는 기동을 수행했다. 바비큐를 굽는 모습을 연상시켜 ‘BBQ 롤’이라 불리는 단계다. ... ...
중국 우주정거장 건설할 우주인 3명 선저우12호 타고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시스템이라고 밝혔다. 이 장치는 발사 과정에서 로켓에 문제가 생기면 발사 15분 전부터
이륙
후 120초까지 우주인의 비상 탈출을 돕는다. CALT는 글로벌타임스에 “비상 탈출이 실패할 확률은 10만 번 중 4번꼴”이라며 “로켓의 탈출 시스템의 안전성은 0.99996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