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공동체
총체
골재
뉴스
"
집합체
"(으)로 총 1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서울대-카오스재단 공개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밝혔다. 스페로이드는 다수의 단일 세포들이 모여 3차원 구 형태를 이루는 세포
집합체
다. 이 기술은 스페로이드의 3차원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 조직을 잘라 2차원 슬라이드로 만든 후 현미경으로 확인했던 기존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했다. 이를 통해 스페로이드를 활용한 질환 모델 분석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혀의 실유두는 맨눈으로는 존재도 알기 어려울 정도로 작고 미뢰(맛을 느끼는 세포의
집합체
)가 없어 촉각에만 관여한다. 1982년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고양이 실유두는 손톱과 같은 케라틴 성분의 가시로 속이 찬 원뿔 모양이다. 미국 조지아공대 기계공학부 데이비드 후 교수팀은 마이크로-CT ... ...
나노입자로 리튬이온전지 용량 30%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극대화 되는 최적의 구조를 찾아냈다.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속이 빈 구 형태를 이루는
집합체
를 형성할 때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리튬이온을 저장했다. 이렇게 만든 리튬이온전지는 용량이 기존보다 30% 크고 500회 이상 충·방전을 반복해도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현 단장은 “속이 빈 ... ...
“성간천체 ‘오무아무아’ 외계 인공물 아닐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세티(SETI)연구소는 4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군집형 전파망원경인 ‘앨런 망원경
집합체
(ATA)’를 이용해 현재 지구에서 약 2억 7000만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소행성 오무아무아의 전파 신호를 관측한 결과, 인공 신호로 분류할 만한 아무런 신호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게리 하프 세티연구소 ... ...
[표지로 읽는 과학]단백질 분해하는 몸속 분자기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분자기계는 빛이나 열, 산성도(pH) 변화 같은 외부 자극에 따라 회전, 전진을 하는 분자
집합체
다. 프로테아좀은 생체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대표적인 분자기계 중 하나다. 프로테아좀이 어떤 단백질을 분해해야 할지 정해주는 체내 단백질이 있는데 이를 ‘유비퀴틴’이라고 한다.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몰은 어떤 계의 물질의 양은 원자, 분자, 이온, 전자, 그 외의 입자 또는 그런 입자들의
집합체
의 수를 나타내는 척도로 1몰은 6.02214076☓1023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정의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신생아 건강을 지키는 장내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0.28
담요에 싸인 채 곤히 잠들어 있는 모습을 담았다. 아기 주위에는 다양한 장내미생물
집합체
(마이크로바이옴)를 상징하는 각양각색의 블록들이 아기를 보호하듯 감싸고 있다. 신생아 때의 마이크로바이옴은 발달과 면역 체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 ...
원안위, 제어봉 오류로 자동정지된 신고리 3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주기로 작동시험을 거친다. 원안위는 신고리 3호기가 자동정지 된 이유에 대해 제어봉
집합체
작동시험 중 운전원이 시험 대상이 아닌 다른 제어봉이 갑자기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면서 자동 정지된 것을 확인했다. 원자력발전소는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계통·기기 등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해 안전에 ... ...
[과학사진관] 나는 모든 지인들의 노력의
집합체
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나의 어느 부분도 원래부터 있었던 것이 아니다. 나는 모든 지인들의 노력의
집합체
다. -척 팔라닉 작품명 | 분광 이미징 주사 터널 현미경의 스펙트럼 Spectrum of SI-STM 1(Spectroscopic imaging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작가 | 이경석 연구원 (leeksdol@snu.ac.kr) 소속 |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작가의 ... ...
아이언맨처럼 홀로그램 만지고 대화하는 세상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자유자재로 변하면서 사람과 대화하는 아이언맨의 홀로그램은 첨단기술의
집합체
"라며 "홀로그램과 함께 감지 센서 기술, 인공지능 기술 등이 결합돼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각의 기술은 아직 여기에는 한참 못 미치는 상황이다. 현재 우리도 출시된 다양한 홀로 렌즈 상품 등을 착용하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