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스페셜
"
미터
"(으)로 총 6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밥상 위 농산물, 초미세플라스틱 복합 오염 위험에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사각형 이미지를 확대한 사진이다. 안전성평가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진이 크기가 100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 이하의 초미세플라스틱과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식물체 뿌리에 초미세플라스틱이 흡수되고 미세화하는 현상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복합 오염된 토양에서 경작된 ... ...
마이크로디스플레이용 포토레지스트 소재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기기에 적합한 0.7인치 크기의 마이크로디스플레이다. 한 픽셀 당 크기는 3마이크로
미터
이하로 1인치당 2300개 픽셀을 밀집해 초고해상도 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 한 디스플레이 기업에 독점 공급을 이루는 데에도 성공했다. 특히 해당 기업이 올해 출시한 스마트폰의 모바일용 OLED ... ...
접종률 제자리·접종효과 사라지는데…유럽 코로나 확산세 '심상찮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7
북남미에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조금씩 잦아들고 있다. 세계적인 통계사이트 월드오
미터
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6일까지 1주 간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를 포함한 북미 신규 확진자는 52만9000명으로 나타났다. 그 전주인 지난달 24~30일 발생한 57만7444명에 비해 8% 감소했다. 남미도 ... ...
[한 토막 과학상식]반강자성물질로 만든 전자소자 가능성 연 초고속 ‘마그논’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11.05
마그논이 전달하는 정보의 크기와 속도 모두 중요하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나노
미터
크기의 샘플에 대해 테라헤르츠 분광 장비를 활용해 마그논 속도를 직접 측정했다. 그 결과 기존에 보고됐던 초당 40km에 비해 10배 이상 큰 초당 650km의 빠른 전송 속도를 관측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않는 골에 포집되는 표면을 제작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두 가지 표면 구조에 수 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바이러스를 모사한 나노입자 및 아데노바이러스 입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벌집 모양은 93%, 쐐기 모양은 96%까지 입자를 가뒀다. 사람의 손이 표면에 닿았을 때 접촉할 확률이 거의 ... ...
재미 한국과학자 코로나19 검사 결과 5분 만에 얻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분자를 감지하는 센서를 개발해왔다. 연구팀이 개발한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로 만든 나노
미터
두께의 속이 빈 원기둥 형태로, 근적외선 등의 빛을 조사하면 형광을 발하는 특성이 있다. 이 탄소나노튜브에 특정 중합체(폴리머)를 혼합한 뒤 목표로 삼은 분자와 결합하면 빛을 쬈을 때 다양한 세기의 ... ...
[랩큐멘터리] 반도체 대신 금속으로 만든 트랜지스터 시대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자성체를 입힌 탐침을 이용해 시료의 자기적 성질을 관측하는 첨단 장비다. 수십㎚(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시료는 자기 탐침이 가하는 자기력을 받고 이를 측정하면 시료의 자성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세계적으로 자기힘현미경을 보유한 연구실은 대여섯 곳에 불과하다. 국내에서는 ... ...
기억 흔적 추적하고 반도체 발열 해결 방안, 자율주행차 SW 검증 방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1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석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팀은 나노
미터
크기의 계면에서 일어나는 열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반도체 등 전자 소자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점점 중요성이 커지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해안 조력발전에 대한 환상
2021.09.29
1994년 경기도 안산과 대부도를 방조제로 연결해서 만들어진 시화호는 56.5제곱킬로
미터
(㎢)의 거대한 담수호였다. 그러나 정부가 시화호로 유입되는 지천의 수질 관리에 실패하면서 ‘죽음의 호수’로 악명을 날리게 되었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17.4ppm까지 치솟았다. 결국 2000년부터는 수문을 ... ...
캔위성 경연대회서 최우수상에 충북과학고·충남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음료수 캔 크기로 구현한 교육용 위성이다. 기구나 소형 과학 로켓을 이용해 상공 수백
미터
에서 낙하하면서 위성처럼 사전에 계획된 일련의 임무를 수행한다. 과기정통부와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초중고 및 대학생들에게 캔위성을 직접 제작하고 발사, 운용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우주에 관한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