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흥미로운 사건들을 그리고 있다. 이 책의 부제는 ‘생각보다 인간적인 학명의 세계’로,
저자
스티븐 허드는 캐나다 뉴브런즈윅대에서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그는 이 책의 서문에서 이렇게 보통과학자의 평범성을 발견한다. 기독교의 창조신화에는 신에 의해 창조된 최초의 인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메탄이 이렇게 문제일 줄이야
2022.01.12
5% 수준이지만 CO2e로 환산하면 GWP100에서는 125%이고 GWP20에서는 4.3배나 된다.
저자
들은 논문 말미에서 “앞으로 CCS 부지를 선정할 때는 미생물의 메탄생성 과정을 고려해 장기간 저장해도 위험성이 낮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화석연료 가운데 가장 매력적인 메탄이 온실가스로서는 ... ...
코로나 백신 mRNA 기술로 '심장 섬유증' T세포 치료법 개발
연합뉴스
l
2022.01.07
섬유증이 확연히 줄고 심장의 크기와 기능도 거의 정상을 회복했다. 논문의 수석
저자
인 엡스타인 교수는 "나중에 이 기술은 막대한 의료적 부담을 덜어낼 수 있는, 확장과 적용이 모두 가능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
교체주기 짧고 대중교통까지 대체한 공유 킥보드, 탄소배출 득보다 실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4
자동차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아 이산화탄소 배출에 더욱 긍정적이라고 평가됐다. 제1
저자
인 렉 대니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교통계획및시스템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은 “공유가 환경을 보호한다는 기존 통념에서 어긋난다”며 “대중교통체계를 잘 갖춘 대부분의 유럽 도시에서 이 같은 결과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한국형 백신과 축적의 시간, 그리고 카리코의 오래된 논문
2021.12.30
BBRC)이라는 학술지에 기호로 가득한 논문 한 편을 출판했다. 카탈린이 처음으로 제1
저자
가 된 논문이다. 타자기로 작성된 이 오래된 논문은 지금까지 겨우 32번 인용되었을 뿐이지만, 카탈린이 처음으로 RNA라는 분자를 만나 사랑에 빠졌음을 보여주는 흔적이다 연구비도 단 한번 받지 못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아데노신과 카페인의 두 얼굴
2021.12.28
뇌전증(간질) 같은 발작이나 인지기능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실제 논문 말미에서
저자
들은 “출생 전후 시냅스가 형성되는 시기 카페인에 노출되면 몇몇 시냅스를 없애는 작용을 촉발할 수 있어 해로운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시기 엄마들은 모닝커피 한 잔으로 만족해야 할 ... ...
"미세 플라스틱, 대류권에서도 떠돈다"
연합뉴스
l
2021.12.23
해를 끼칠 만큼 많지는 않지만, 사람이 들이마실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입자라고 공동
저자
인 디오니 앨런은 지적했다. 그는 "공해로부터 보호받고 충분히 떨어져 있는 곳으로 여겨진 곳에도 플라스틱이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잠시 멈추고 생각하게 만든다"라며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에 실어 외국에 ... ...
코로나19 가볍게 앓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연합뉴스
l
2021.12.21
이미 기관을 손상하기 시작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줬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에센 세피크 박사후연구원은 "감염 초기의 강한 면역 반응은 코로나19 환자의 생존에 필수적이다"면서 "하지만 감염 후반의 강한 면역 반응은 오히려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실험 ... ...
저명학자들 “전 세계 퍼진 코로나바이러스 전수 검사하고 범용 백신 개발에 힘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20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백신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저자
들은 “유니버설 백신을 설계하려면 어떤 설계 전략이 면역 반응을 가장 신속하게 이끌어낼지를 확인해야 한다”며 “특히 새롭게 출현할 코로나바이러스를 방어할 수 있는 지속적인 ‘면역 기억’ 반응을 유발할 수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이 과정을 반복하며 각 AI가 제시한 결과를 개선하며 정확도를 높인다. 연구논문의 제1
저자
인 백민경 연구원은 전화 인터뷰에서 “단백질 구조 해독에 대한 인류의 개발 역사에서 정점을 찍은 것이 최근의 AI를 활용한 방법”이라며 “밝혀진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미궁 속의 단백질 구조를 빠르고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