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이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있다. 그러나 정상인 사람은 누구나 빛이 있고 없음을 객관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큰
범위로 볼 때 빛은 물질이다. 따라서 물질의 개념을 확장해 가면 에너지도 물질 개념의 연장선 상에 넣을 수 있다.물질의 구조를 보는 두가지 입장우리 주변에 있는 많은 물질들은 따로 떨어져 있는 것처럼 ... ...
오리온자리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이 성운을 본다는 것은 바로 별이 죽은 모습을 보고 있는 것과 같다. 태양보다 질량이
큰
별이 수명을 다하면 중심부에서는 중력에 의해 수축된다. 이렇게 해서 생긴 중력 수축 에너지는 별의 껍질 부분을 날려버리는 폭발을 일으킨다. 이때 우리 눈에 안보이던 별이 갑자기 나타나기 때문에 ... ...
시베리아의 진주 바이칼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시베리아인들만의 자원이다.바이칼호수 가운데 자리잡고 있는
큰
섬, 올혼섬을 찾아 나섰다. 올혼섬의 주민은 주로 몽골 계통의 브리야트인이다. 비록 러시아 땅이지만 올혼섬에서는 우리를 꼭 닮은 동양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얼굴은 우리와 비슷하지만 사는 모습은 거의 ... ...
3만분의 1확률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기본구조와 형식은 바꾸지 않는 경우를 스킨 체인지(skin change)라고 한다. 변화 정도가
큰
것부터 나열하면 풀모델 체인지 > 스킨 체인지 > 마이너 체인지 > 페이스 리프트가 된다.차량의 구조가 바뀌었는지 판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바퀴 사이의 거리인 축거(앞뒤 바퀴거리)와 윤거(마주보는 ... ...
우리나라 송전의 새 장 열어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매우 안전성이 보장돼야 한다. 만일 전선이 땅에 떨어지는 일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다면
큰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고가 나면 사고부분이 전력 계통에서 즉시 분리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설치한다.우리나라는 해방 후에도 일제시대에 주로 쓰던 소호선륜(消狐線輪)방식의 접지를 계속 ... ...
정자들의 전쟁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때보다 더 적은 수의 정자를 내놓는다.그러나 여자의 몸 안에 유지되는 정자의 수에는
큰
차이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서 수음직후 성교시에 방출된 정자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정자보다 특별히 경쟁력이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정자가 남자의 몸안에 보존되는 기간과 관련이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가리워지는 시각은 9시 50분경이다. 우리나라는 그 지역이 넓지 않기 때문에 각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다.이때 태양이 위치한 방향은 남동쪽이다. 그러므로 남동쪽 하늘이 트인 곳이라면 어느곳에서나 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 또 일식이 시작될 때 태양고도는 30도가 넘으므로(서울에서 38도) 굳이 많이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확인했다."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공룡의 알겁질화석과 파충류의 이빨화석이 발견돼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이 공룡의 알껍질은 지난 74년 8월 경북대 양승영교수가 경남 하동군 금남면에서 발견했다.…동양에서는 19세기 말에 미국학술조사단이 몽고에서 공룡의 화석과 원형의 알을 발견한데 이어 ... ...
잘못 알려진 코리올리 효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부르는)에 의한 것이다. 지구 자전은 대규모의 기상현상이나 대양에서 발생하는
큰
회오리바람에게 영향을 끼친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오래 지속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아주 약한 코리올리 힘이라 할지라도 시간이 흐르면서 현저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Coriolis force does cause big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혈관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현재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제품들이다.인공혈관은 사용할 때 닥치는 가장
큰
어려움은 혈액이 굳어버려 구멍이 막히는 일이다. 자연혈관의 경우 안쪽에 있는 내피세포는 자체적으로 항응고물질을 분비해 혈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인공혈관에 그런 세포가 있을 리 없다.인공혈관을 ... ...
이전
1098
1099
1100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