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인
d라이브러리
"
일부인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략 세우기
과학동아
l
201107
흔히 ‘수시는 전략’이라고 말한다. 수많은 전형 중에서 자신의 특성에 맞는 지원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뜻이다. 자신의 현재 위치와 장점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것을 최대한 활용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대학과 전형을 찾는 것이 수시 지원전략의 핵심이다. 올해 입시에서 수능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07
“찰칵찰칵.” 카메라는 추억을 담는 그릇이다. 평생 함께할 추억이기에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남기고 싶다. 내 카메라에 적힌 숫자의 의미를 바로 아는 것이 큰 힘이 된다.사진의 화소는 그물의 구멍 친구가 이번에 1600만 화소 카메라를 샀다고 자랑이다. 3년 전에 최신 기종이라고 산 내 카메라 ... ...
삼각형으로 가득한 세상, 미션을 수행하라!
수학동아
l
201107
어떻게 될까? 편의상 곡선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을 ‘곡선 삼각형’이라 부르고, 직선의
일부인
선분으로 이뤄진 삼각형은‘직선 삼각형’이라 부르기로 하자.평면에서 곡선 삼각형을 만들려면 컴퍼스를 이용해 크기가 같은 원 세 개를 겹치거나 접하도록 그리면 된다. 그림 ③은 크기가 같은 원 세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07
물방울일까? 공기방울일까?한 어린이가 빨대 끝을 비눗물에 담근 뒤 뺀다. 그리고 빨대의 반대쪽 끝을 입으로 불자 작고 귀여운 비눗방울이 하나둘씩 방울방울 생긴다. 옆에 서 있던 다른 아이가 비눗방울을 잡으려고 이리 뛰고 저리 뛴다. 비눗방울은 대부분 손을 대면 터지지만 한둘은 손에 달라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07
현대는 교통카드나 2012년에 도입될 전자주민등록증처럼 작은 크기에 많은 정보를 담아 편리하게 이용하는 전자정보시대다. 그러나 편리해진 만큼 분실이나 해킹으로 개인정보가 노출될 위험도 커지고 있다. 수학은 암호기술로 정보를 보호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대형마트나 시장에서 어떤 상품을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07
박지성을 말할 때 히딩크를 빼놓을 수 없듯, 영재에게는 자신의 능력을 일깨워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박지성처럼 좋은 모델이 돼줄 선배가 가까이 있다는 것도 과학영재에겐 큰 힘이 된다. 청주교대 과학영재교육원은 이 모두를 갖췄다.영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찰지도교사제청주교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
과학동아
l
201107
[편집자 주이 기사는 미국에서 토네이도를 쫓아다니며 직접 연구를 했던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가상으로 구성했습니다. 1990년대 미국 오클라호마대에서 토네이도를 추적, 연구했던 박선기 이화여대 국지재해기상예측기술센터 소장을 직접 만났고, 2009~2010년 토네이도헌터 프로젝트인 ‘볼텍스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07
하루가 멀다고 주요 국가기관과 기업들의 해킹 피해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요즘 가장 악명을 떨치고 있는 해킹 그룹 룰즈섹의 활약상은 실로 대단하다. 소니와 미국 연방수사국(FBI), 공영방송 PBS에 이어 중앙정보국(CIA) 웹사이트까지 해킹 공격으로 뚫었단다. 룰즈섹은 CIA 웹사이트를 해킹한 직후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07
[우주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지금까지 가장 유력한 이론은 영국의 스티븐 호킹과 로저 펜로즈가 발표한 이론이었다. 대폭발(빅뱅)과 급팽창(인플레이션)을 거쳐 현재의 우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입자물리학을 이용해 설명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끈이론을 이용해 더욱 정교하고 자연스러운 이론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07
“어머나! 이게 웬일입니까? 이게 웬일이에요?”나로호를 두 번째 발사하던 날. TV 방송 해설을 맡았던 우주인 이소연 박사는 ‘통신두절’이라는 속보가 화면에 뜨자 화들짝 놀란 목소리로 이렇게 외쳤다. 나로호가 발사후 137초 만에 공중에서 폭발했기 때문이다. 아쉬운 게 어디 이 박사뿐이었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