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d라이브러리
"
가설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1. 현장교사에게 듣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출제의 기본 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①과학적 탐구사고력의 요소(문제 인식,
가설
설정, 탐구 설계, 자료 해석, 결론 도출)들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출제한다.②과학 내용 영역은 4개의 과학 교과 내용이 균형있게 포함되고 통합 교과적인 문항이 되도록 한다.③제한된 시간안에 문제를 해결할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자유도를 갖는 점(point)이 아니라 무한한 자유도를 갖는 1차원 끈(string)으로 되어 있다는
가설
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이제 M이론에 따르면 기본입자는 1차원 끈보다 두배의 자유도를 갖는 2차원 면으로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자연의 기본입자는 끈으로 되어 있을까, 혹은 면으로 되어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먹는 이유를 설명했다. 초콜릿에 함유된 PEA 때문이라는 것이다. 모든 사람이 PEA
가설
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초콜릿이 가진 최음효과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초콜릿을 신이 내린 선물로 숭배한 멕시코 아즈텍 제국의 마지막 황제는 6백명의 여자를 거느린 하렘을 방문하기 전에 정력을 보강하기 ... ...
③ 공룡멸종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잃어버린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식물뿐 아니라 동물도 멸종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밖에도 공룡의 멸종에 대해 많은
가설
들이 제기되어 왔다.그러나 마이클 크라이튼은 ‘잃어버린 세계’에서 새로운 주장을 펼친다. 공룡의 멸종에 관한 이론들은 화석 기록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나 화석 기록은 오랜 과거에 대한 한 순간의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예시력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것은 현대 물리학의 상당 부분이 ‘증명불가’의 상태에 놓여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가설
일 뿐이다. 실제 가장 난해한 물리학 분야인 입자물리학 이론들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드는 것 조차 우리의 능력 밖에 있다.현대물리학자들은 아직 시공간의 움직임을 해석하기에는 역부족이며, ... ...
② 자연요법7: 카이로프랙틱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손으로 만져 뇌와 장기 사이의 신경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설
을 세웠다.척추의 구부러짐과 뇌 크기의 관계카이로프랙틱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우선 인체의 전반적인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자. 인간이 어머니 배속에 있을 때 척추는 C자형으로 뒤로 굽은 형태(후만곡)를 ... ...
착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뇌는 애매한 도형에서 나타난 물체가 무엇인가에 대해 두가지
가설
을 교대로 검증하며 한가지 결론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처럼 반전은 뇌의 중추신경에 의한 것인지 정보 자체의 변화는 아니다. 우리의 지각이 망막에 새겨진 이미지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 ...
1. 만물의 법칙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이미 자연스럽게 확립됐다. 1900년대 초에 플랑크(1858-1947)에 의해 도입된 빛 에너지의 양자
가설
로부터 출발해, 빛은 많은 광자들의 모임이라는 것이 아인슈타인(1879-1955)의 광량자설로 정착된다. 이것은 빛이 파동으로도 입자로도 기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모든 입자들도 파동성을 ... ...
페니스는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남자 앞에서 겁을 먹을 리 만무하다.큰 페니스의 진화를 여성의 오르가슴과 연결시킨
가설
이 한때 인기를 얻었다. 페니스가 클수록 여자에게 성적 쾌감을 크게 준다는 주장이다. 대부분의 남성들은 긴 페니스로 질을 꽉 채우지 않으면 여자가 성적으로 만족하지 못할 것으로 믿고 있다. 그러나 질은 ... ...
몸안에서 생기는 진통제 엔도르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뇌에서 분비되는 ‘어떤 물질’이 동물의 체내에서 모르핀과 같은 작용을 할 것이라는
가설
을 갖고 있었다. 이때 휴즈가 코스테리츠의 실험실에 들어왔다. 독선적이면서 소심한 코스테리츠와 달리 휴즈는 논쟁하기를 좋아하는 다혈질이며 고집불통인 31살의 젊은이었다.‘어떤 물질’의 존재를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