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세상을 구할 태초의 수호자, 이터널스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백만 년 전, 셀레스티얼이라는 우주 외계 종족이 지구에 살던 원주민의 DNA를 개량해 새로운 종족인 ‘이터널스’를 만들었어요. 이들은 특별한 우주 에너지를 몸속 세포 안에 지니고 있어 초인적인 힘을 가진 이도 있고, 텔레파시 능력을 가진 이도 있어요. 심지어 하늘을 날며 눈과 손에서 레이저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고대부터 날씨와 기후를 조절하는 바람과 물의 움직임은 예측 불가능하고 알 수 없는 것으로 취급됐다. 현대에 들어 기후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지만, 수많은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복잡계(complex system)’를 온전히 이해하기는 쉽지 않았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인류가 ... ...
- 여성과 남성 백신 영향 차이날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10월 12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60%를 넘었다. 백신 접종 시작은 다른 나라에 비해 다소 늦었지만, 지난 9월 30일 50%를 넘긴 이후 2주만에 60%를 넘기는 등 뒷심을 발휘하고 있다. 이런 추이라면 11월경 백신 접종 완료율이 70%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백신 접종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유리 한 장에 갈린 생과 사, 솔부엉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기사에는 유난히 조류가 많이 등장한다. 구조센터에서 생과 사를 달리하는 동물 중 조류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지난해 구조센터에서 구조한 1만 1269마리 중 조류는 7079마리로 전체의 약 63%다. 조류는 국내에 서식하는 척추동물 중 어류 다음으로 많다. 구 ... ...
- [논문탐독] 소수의 자율주행차로 유령정체 해소한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도대체 왜 차가 막히는 거야?”고속도로에서 모두가 한 번쯤 생각해본 질문일 것입니다. 가장 단순한 대답은 도로 환경 때문입니다. 고속도로의 각 구간은 통행수요, 진·출입 램프 여부, 사고처리, 공사 여부 등에 따라 차선 수가 달라집니다. 4차선을 가득 채운 차들이 3차선을 만난다면 한 번에 ... ...
- [기획] 키메라가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그동안 과학자들은 여러 동물과 식물을 이용해서 키메라 연구를 해왔어. 그런데 최근 사람과 원숭이 세포를 융합한 키메라 연구가 유독 논란이 된 이유는 뭘까? 바로 키메라가 만들어지는 연구 과정에 답이 있지! 한 배아에서 사람과 원숭이가 함께 자란다4월 15일, 미국 소크생명과학연구소의 후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어과동 친구들은 외계인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그 외계인을 찾는 탐사 프로그램에 함께할 수 있다면 여러분은 참여하실 건가요? 장난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외계에서 온 신호를 분석하는 ‘세티 앳 홈(SETI@home)’이라는 프로젝트가 있어요. 해당 웹사이트의 소프트웨어를 받 ... ...
- [특집] 수학자가 무한을 그리는 방법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수학자들은 무한을 정의하기 위해 실수, 자연수와 같이 개수가 무한한 집합을 눈여겨보기 시작했소. 그러다 무한의 신기한 성질을 발견했지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의 사고 실험으로 그 성질을 알려주겠소. 일명 ‘무한호텔’이오. 만약 호텔의 모든 객실에 손님이 있어 빈방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오늘은 제가 아끼고 애정하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과 후배들의 이야기를 들려줄게요. 수학과 졸업하면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엿볼 수 있을 거예요! Q1. 수학과에 간 이유가 궁금해요! 윤석 중고등학생 때 가장 좋아했던 과목이 수학과 화학이었어요. 자연스럽게 둘 중 하나로 정하려했 ... ...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인류는 새로운 고기를 찾기 위한 여정을 시작했다. 기존 공장식 축산에서 불거진 동물 윤리 문제와 환경 문제가 외면하지 못 할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2013년 네덜란드의 한 대학의 실험실에서 처음 탄생한 배양육도 그 후보 중 하나다. 동물에서 추출한 세포를 증식, 분화시켜 근육이나 지방 조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