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d라이브러리
"
바이오
"(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혁신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마이크로 로봇의 세포조작을 통한
바이오
기술의 혁신이 기대되며 각종 재료 및 소재에 대한 3차원적 구조의 관측과 성분분석이 마이크로 로봇에 의해 가능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또 해류의 이동관찰, 환경감시, 우주공간에서의 실험에서도 마이크로 ... ...
세계 최초의 생체공학 여성 탄생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5만 파운드라는 막대한 비용이 들었다. 에딘 버러의 프린세스 마가렛 로즈병원 부속
바이오
엔지니어링 센터는 당초 탈리도마이드 희생자들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곧 인공손과 팔의 제작으로 유명해졌다. 1년에 적어도 5백명 이상이 이 센터의 도움을 얻고 있다 ... ...
최신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외부 에너지만으로도 시동이 가능하다.시카고 근교에 있는 알곤 연구소에서 개발한 '
바이오
락'기술을 이용하면 음식 찌꺼기는 생물분해되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코팅재질로 바뀌어진다. 이 플라스틱의 기본은 젖산인데, 햇빛이나 물에 닿으면 무해하게 분해된다. 이 플라스틱을 만드는 일에는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밝혀졌다.오늘날 과학기술의 얼굴인 컴퓨터가 뇌의 계산기능을 모방하여 태어난 것처럼
바이오
미메틱스(생체모방)는 생명이나 생물의 본질적인 기능연구를 통해 21세기형 신기술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
2030 뉴로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비록 각 연구자의 머리에 새겨진 미래의
바이오
컴퓨터 그림은 모두 다르겠지만.
바이오
컴퓨터가 널리 쓰이게 된다면 그 맛있는 칩의 속살을 먹기 위해서 새로운 종의 기생충이 컴퓨터 속으로 몰려들지도 모른다. 또는 컴퓨터가 제조일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쉬어버리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것이다.RCAST연구팀은 이 뿐아니라 시계 모양의 피부
바이오
센서에도 도전하고 있다. 피부
바이오
센서의 주 임무는 피로도와 알코올섭취량을 즉각 알려주는 것이다.떠다니는 수도관 검사기누수위치를 정확히 지적영국에서는 최근 수도관의 누수여부를 검사하는 장치가 제작돼 1백년 숙원을 풀 호기를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요즘
바이오
테크놀로지와 농업의 눈맞춤이 뜨겁다. 조직배양기술 세포융합기술 유전자 전환기술 등을 활용해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우리나라의 농업이 전통적 자급자족 농업형태에서 상업농으로 변해가고 있는 요즈음 경제성장과 수입개방으로 인해 농업생산과 농민생계에 ... ...
4 석유대신
바이오
매스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바이오
매스에 작용하면
바이오
매스에너지의 일종인 에탄올이 만들어지는 것이다.아무튼
바이오
매스에너지와 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생물에 대한 유전정보의 확보는 다가올 석유고갈시대를 대비하는 중요한 방책이 된다. 언젠가 석유가 바닥나는 것은 이미 정해진 길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석유가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를 이용해 그 물질의 존재와 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첨단감지장치인 것이다.
바이오
센서는 매우 밝은 전망이 보장된 효소의 영역이다.이러한 효소의 잠재력을 많은 과학자와 산업기획자가 잘 알고 있지만 효소의 활용은 다소 느리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단 예외가 있다. 덴마크의 노보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것이 바로 자연의 정화작용이다.이러한 자연의 정화작용을 본따, 먼저 인공적으로 만든
바이오
시스템(biosystem)에서 폐수를 깨끗하게 정화한 뒤 방류하도록 하는 것이 생물학적인 폐수처리의 기본원리다.폭기조(aeration tank)라고 부르는 장치에 폐수를 담고 여기에 산소(공기)를 불어넣으면 미생물이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