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d라이브러리
"
배열
"(으)로 총 1,523건 검색되었습니다.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3년 과학자들은 인체의 신비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모두 모을 뿐이다. 30억개의 염기가
배열
된 순서를 알아내는 일이다.하지만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내는데 어떤 염기들이 기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남아있다(기능유전체학). 또 단백질이 어떤 과정을 거쳐 복잡한 생리현상을 일으키는지에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첫수와 끝수)쌍이 되면서 8각형 사이에 있는 4각형을 구성하는 숫자의 합이 일정하게
배열
하기 위함이다. 이 외에도 팔각진을 완성하는 더욱 간단한 방법이 여러가지 있으나 독자들의 탐구에 맡긴다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알면 어떤 아미노산 1개가 만들어지는지가 밝혀져 있다. 이런 의미에서 DNA의 염기
배열
을 가리켜 '생명의 설계도'라고 부른다.하지만 30억개의 염기가 모두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인간의 단백질 종류는 약 10만개에 달한다. 그런데 이 단백질을 만드는 염기의 수는 3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우리 주변에 있는 자석에서 볼 수 있다. 강자성체인 자석은 스핀을 가진 입자들이 나란히
배열
돼 있는 물리계인데, 이 자석의 전체 에너지는 각 입자들의 스핀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리계를 회전시켜도 전체 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는 모든 입자의 스핀이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번의 반사를 거친다는 것이 차이다. 즉 굴절-반사-반사-굴절의 과정을 겪으면서 색깔의
배열
이 첫 번째 무지개와 반대인 보라색이 위에 있는 무지개로 보인다.많은 사람들이 알고있는 무지개의 모양은 사실 무지개의 전부가 아닌 일부분이다. 어느 경우엔 1/4이고 많이 본다고 해도 1/2을 넘지 못한다.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일이다. 단백질의 기본 단위는 아미노산이다. 인체의 경우 20종류의 아미노산이 독특한
배열
과 구조를 갖춤으로써 수많은 종류의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여기서 지칭하는 ‘유전자’는 바로 단백질 한가지를 만들어내는데 필요한 물질을 가리킨다. 즉 일반적으로 ‘6천여개의 유전자’란 ‘6천여개의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독특한 신호 펩티드를 가진다는 점을 알아냈다. 즉 신호 펩티드가 어떤 아미노산의
배열
로 이루어져 있느냐에 따라 특정 단백질이 세포막에 존재할지, 세포 밖으로 분비될지, 또는 세포의 어느 소기관으로 옮겨질지가 결정되는 것이었다. 이런 연구에 힙입어 최근에는 상당히 많은 단백질의 신호 ... ...
작을수록 강해지는 나노물질 합성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전기를 잘 통하는 도체가 되기도 하고 반도체가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 튜브를 잘
배열
하면 현재 사용되는 반도체보다 1만배 정도 작은 규모에서 동일한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나노튜브의 제조는 현재 탄소 외에 여러 가지 다른 원소와 화합물에 대해 시도되고 있다. ... ...
에이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미국의 대논쟁이 시작됐다.물론 갤러가 사이언스에 발표한 에이즈바이러스의 유전자
배열
은 몽타니에의 것과 똑같았다. 바이러스는 전염되는 동안 변이를 일으킨다. 또 미국과 유럽 사이의 거리는 상당히 먼데 바이러스가 똑같은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조금도 물러서지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회의를 소집했다. 게놈(Genome)은 ‘유전자 전체’라는 뜻. 즉 30억개의 염기쌍을
배열
하고, 10만개에 이르는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그런데 학자들의 관심이 큰 만큼 사공도 많았다(특히 이를 상업화하려는 기업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1988년 DNA 이중나선구조를 발견한 제임스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