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기
백척간두
위급
모험
누란지위
위태
고비
d라이브러리
"
위험
"(으)로 총 4,42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더 신경을 쓰는 심리 현상이다. 슬로빅 교수는 “부모들 역시 백신을 맞지 않았을 때의
위험
보다 백신을 맞고 난 뒤 부작용을 더 신경 쓰는 부작위 편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일단 백신이 안전하지 않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뒤에는 그 생각을 바꾸기가 무척 어렵다. 자기 믿음과일치하는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있다. 국가 간 이동이 자유로운 현대 사회에서는 해외에서 유입된 감염병에 걸릴
위험
성이 늘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최근 유럽에서는 백신 거부 운동 때문에 전염병의 발생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자 이에 대한 규제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탈리아는 자녀의 예방접종을 거부하는 부모에게 벌금을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조울증 환자들이 자신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돕고, 자살
위험
도를 평가한다. 이 앱은 지난 2월부터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의 지원을 받아 실제 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하고 있다 ...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분들도 있을 겁니다. 좀 어렵게 말하면 ‘관능적 유통기한’을 중시하는 겁니다. 하지만
위험
한 발상입니다. 맛이 안 변해도 미생물 수가 늘었을 수 있고, 유통기한이 안 지났더라도 식품의 맛은 달라질 수 있거든요.그렇다고 유통기한이 지났으면 무조건 버리라는 뜻은 아닙니다. 유통기한(Sell by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일반적인 소아기 감염증에 노출될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에 알레르기 만성 질환의 발병
위험
이 높아진다는 가설이다. 그러나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대 감염내과 폴 오피트 교수와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증연구소(NIAID)의 찰스 해킷박사는 이를 반박하는 연구 결과를 2003년 3월 ‘소아과학’에 ... ...
[에디터 노트]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백신에 대해 회의적인 말을 했다는 사실에 화가 나서 나왔다고 했습니다. 아이들을
위험
에 빠뜨리고 있다고요. 그땐 그냥 먼 나라 이웃 나라의 이야기로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2 불신그런데 그 일이 한국에서도 일어났습니다! 백신에 대해 불신감을 품는 사람이 적지 않았고, 일부는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치료 뒤 임신에 성공한 여성(9349명)에 비해 임신에 실패한 여성은 심혈관질환을 겪을
위험
이 19% 더 컸다. 연구팀은 ‘메디컬뉴스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난임치료는 눈에 띄지 않는 혈전을 유발하고 혈압을 상승시키거나 난소를 과도하게 자극하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건강한 피임약은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땅에서나 전력을 이동시키기 매우 어렵다. 함신은 3월에서 5월 사이에만 불기 때문에, 이
위험
을 줄이고자 6월에 전쟁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모든 전쟁의 승패에 날씨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리고 전쟁의 승패는 지금의 세계사를 완성했다. 만약 그때 전쟁의 시기를 6월로 잡지 않았더라면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사람들이 있어요. 단 한 번도. 그 사람들은 정보사용량에 제약을 받지 않아요. 따라서
위험
한 사람들이죠. 마음만 먹으면 은하계 전체에 해를 끼칠 수도 있거든요, 물론 그러려면 오랜 시간 동안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겠지만.”노마는 제니가 공기총에서 몸을 떼고 두 사람의 대화에 집중하는 것을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물이 빠져나가 염분이 높은 상태가 된 남은 바닷물을 그대로 바다에 보내면 생태계가
위험
해질 수도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닷물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