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연구자들은 모로코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모로코는 최근 이슬람국가(IS)를
지지
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고 있다. 연구팀은 이슬람 성전을 신봉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평범한 무슬림에게 각각 샤리아(이슬람법)를 위해 얼마만큼 희생할 수 있느냐라고 물었다. 그 결과 종교적으로 ... ...
만성 가려움증,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가려움증은 원인이 밝혀
지지
않아 그동안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밖에 치료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미국 솔크연구소의 마틴 굴딩 교수가 척수에서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중간뉴런의 단백질인 ‘NPY’가 만성 가려움증과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쥐 실험을 통해 알아냈다.굴딩 교수는 쥐의 중간뉴런에서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NIH) 시절 진행하던 연구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NIH에서 명 교수는 DNA 복구가 제대로 이뤄
지지
않아서 생기는 암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항암제’를 연구했다. 암세포의 DNA 복구를 방해해 사멸시키는 원리다. 할리우드 배우인 안젤리나 졸리는 유방암 유발 가능성이 70% 안팎인 ‘BRCA1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닭과 오리 등 가금류를 집단폐사시키는 AI는 아직까지 전파 경로가 명확하게 밝혀
지지
않았는데, 일부 학자들은 철새가 바이러스를 옮길 거라고 추정하고 있다. 이에 철새들의 위치와 이동 특성 등을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한국환경생태연구소는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의 의뢰를 받아 201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지역에 풀어 놓기도 했죠. 하지만 OX513A를 풀어놓는 것이 안전할지는 아직 확실히 밝혀
지지
않았답니다.너희를 모두 수컷으로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며?맞아요. 앞에서 얘기했듯이 우리 이집트 숲모기는 산란기의 암컷 모기만 사람들의 피를 먹고 살아요. 그러면서 황열과 뎅기열을 ... ...
[교육] 또 다른 세계,토러스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한군데로 모을 수 있으면 우주는 구 모양이다. 밧줄이 어딘가에 걸려서 한군데로 모아
지지
않으면 우주는 토러스 모양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사물뿐만 아니라 우주의 모양을 추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토러스를 조립해 보자. 그리고 모양을 바꿔 새로운 토러스에도 도전해 보자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물의 정화작용을 해요. 논밭에서 나온 농약으로 오염된 물이라도 수초를 지나면 깨끗해
지지
요. 수초를 먹이로 먹는 다양한 곤충들이 살고 있기 때문에 개구리는 수초에 있는 곤충을 먹으며 넉넉한 먹이활동을 할 수 있어요. 또 수초 사이에 숨으면 낮에도 포식자를 피할 수 있어요.이처럼 청개구리와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지진이 났을 때는 정말이지 희망이 없는 것처럼 느꼈지만 다행히 집이 한 번에 무너
지지
않아 살 수 있었다”면서 “지금은 양철로 만든 임시 주택에 살고 있지만 슬프거나 힘들지는 않다”고 말했다.영어 교사인 묵티 나스 카날 씨도 “지진으로 어머니를 잃은 학생들이 다섯 명인데 당시에는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연대는 43만 년 전이었다. 하지만 날레디의 경우 아직 정확한 화석 연대조차 제대로 밝혀
지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고인류학자들은 새로운 화석이 나올 때마다 새 종으로 이름 붙이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아직은 연구 초창기기 때문에, 날레디에 대한 평가도 ... ...
[이달의 사물] 천일염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이동했습니다. 사실 세균 위험성도 천일염의 다른 논쟁거리처럼 아직 명확하게 밝혀
지지
않았습니다. 천일염의 안전성을 연구한 논문의 상당수가 안전하다는 쪽으로 기울어 있고요. 하지만 먹을거리다보니 불안한 마음을 달래긴 쉽지 않네요. 천일염, 먹어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