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과정"(으)로 총 1,9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 2탄)태양!! 짧지만 유익한 지식!!기사 l20201231
- 핵에서는 수소가 융합되면서 헬륨이 만들어집니다. 이때 엄청난 빛과 열이 함께 발생하는데 이것을 태양 에너지라고 합니다. 이 과정때문에 태양이 엄청난 빛을 냅니다. 태양의 표면 바깥 부분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표면 바깥에 대기가 있는 것처럼 태양의 표면에도 대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광구(태양의 표면)가 너무 밝아서 평소 ...
- 그냥 돌덩어리가 아니다!~ 신기한 돌, 광물 [반짝반짝 보석]기사 l20201231
- 석류석이 존재합니다. 굳기 7로 단단하고, 브라질에서 산출됩니다. 등축정계(like 다이아몬드) 유리 광택 입니다. 저 조차 자료수집 과정에서 알게 된 보석입니다. 팔찌로 자주 쓰인다죠. 5.호박 이 친구는 나무의 수액이 굳어서 만들어진 유기 광물입니다. 너무너무 특별한 친구죠. 결정계는 없습니다.(나무수액이 굳어 만들어졌는데 조합이 복불복 ...
- 이시간에 뜬금없는 치유물(致有物) 애니추천포스팅 l20201228
- 그게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뭐 그런 생각을 하면서 보는 것도 괜찮읍니다. 주인공이 본인의 사랑(해피 슈가 라이프)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도 세세히 묘사되어 있으니 함 보시구요. 마지막으로 숨겨진 하나의 요소. 분홍머리 고교생 여자애의 이름은 사토 (설탕) 이고 파란머리 초등생(사실 학교 안다님 엌ㅋㅋㅋ) 여자애 이름은 시오 ...
- 채식이 뭘까? 채식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01228
- 사람이 먹으면 사람도 광우병에 걸려 죽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건강한 소를 키우려면 넓은 목초지가 필요한데, 목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도 많은 나무를 베어야 합니다. 게다가 소가 뀌는 방귀 마저도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하네요. 이런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일부 사람들은 채식을 실천하기도 합니다. 이런 사람들을 우리는 채식주의자라고 부릅니다. 세계 ...
- 으아아아아 여러분 살려주세요포스팅 l20201227
- 아니 제가 갠적으로 수과학을 좋아하긴 하는데 그 중학교 2학년 , 1학년 과정을 하고 있거든요? 지금 아빠한테서 중 1 배우고 왔는데 아니 진짜 아빠가 저를 중 1로 생각하고 가르쳐가지고 머리 터지고 구박받고 해써요... 넘 힘 들 다 능 근데 숙제도 마나요 사알려여주우세에요 ...
- 만나면 싸우는 앙숙 이웃나라! TOP2!기사 l20201227
- 사이가 좋지 않았어요. 이후 무굴제국의 이슬람교도들과 힌두교도들은 각각 파키스탄과 인도로 갈라지게 되었는데, 설상가상으로 이 과정에서 누가 두 나라 사이에 위치한 카슈미르 지역을 가질 것이냐를 두고 전쟁이 일어났어요. 일단 카수미르 지역을 나누어 가지는 것으로 휴전을 했지만, 현재까지도 서로 무력을 행사하며 으르렁거려, 주변 나라들은 혹시나 핵 ...
- 유트버, 알고 하자!기사 l20201226
- 유튜브 채널 개설만 해도 내가 찍은 영상을 다른 이들에게 보여줄 준비가 된 거죠. 휴대폰으로 간단히 찍고 편집해서 올리는 간단한 과정이죠. 유튜브 콘텐츠를 만들어 영상을 올리는 것으로도 돈을 벌 수 있거든요. 구독자가 10만 명을 돌파한 한국 유트버들만 해도 4천 명이 넘어요! 이 유튜버들은 매달 수 백 만원에서 수 억원이나 번다고 합니다! ...
- 프롤로그포스팅 l20201224
- # 프롤로그 난 A+ 비밀요원 알렉산도르. 냥랜드의 최고요원 이다냥........ 내가 작가에게 크리스마스 이브에 프롤로그를 써달라고 했더니 순순히 알겠다고 하더군.... 암튼 이제 부터 프롤로그 시작이다냥! ... 정찰냥들: 잘 다녀오라옹! 냥이 :알겠다옹~~~~ (너무 속도가 빨라서 그냥 지나침) ...
- 햇반 뮤지엄 랜선 견학!기사 l20201223
- 바뀌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전자레인지 조리를 할 때 마이크로파 반사를 위해서 입니다. 참 과학적이지 않나요? 다음으로는 만드는 과정을 영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저는 햇반이 실제로 밥을 지을 거라고 생각을 하지 않았는데 실제로 짓는 걸 보니 신기했습니다. 이런식으로 짓는다고 합니다. 다음으로는 큐앤 에이 시간을 가졌습니다. 질문 몇 가지를 ...
- A4용지의 크기에 숨겨진 비밀!기사 l20201222
- A4용지의 크기는 210mm × 297mm이다. 단순하게 200mm × 300mm로 하면 편할 텐데, 왜 이렇게 했을까? 종이가 절반으로 계속 잘려나가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종이가 없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래서 단순히 200mm × 300mm로 정하면 종이가 비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직접 실험을 해 보았다. 위 종이는 300mm×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