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직접 통신을 할 경우 이 팩들이 필요하게 된다.팩들은 대개 옵션(option)으로 선택하게 되는
데
△모뎀팩 △팩스팩 △팩스/모뎀팩 △스캐너팩(화상을 읽어들임) △터미널 에뮬레이션팩(대형 컴퓨터 연결용) △LAN팩(근거리통신망에 연결) 등이 있다. 이외에도 음성을 컴퓨터에 읽어들이는 기능, VTR ... ...
3. 하반기 판매경쟁 치열할 듯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노트북 컴퓨터의 유저는 집이나 사무실에
데
스크톱 PC를 갖고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데
스크톱으로 어느 정도 PC사용이 익숙해진 사람이 컴퓨터를 더욱 자주 친근하게 이용하기 위해 노트북을 구입한다는 얘기다. 반면 노트북은 랩톱시장을 무섭게 위협하고 있다. '2㎏ 대 8㎏의 대결'로 압축되는 ... ...
톱 쿼크 좇는 슈퍼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난수(random number)를 이용해 다른 방법으로는 풀 수 없는 수학적인 난제를 푸는 것이다.그런
데
이 몬테카를로 기법은 병렬처리컴퓨터(parallel computer)에 응용하기에 알맞으며 입자물리학을 위해 개발되고 있는 특수컴퓨터의 경우에는 아주 이상적이다.한편 새로운 컴퓨터의 개발은 기존의 컴퓨터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별보는 일이 도시 아이들보다 조금은 유리했지만 아마추어천문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는
데
는 오히려 장애가 됐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천체관측 내지 사진촬영을 혼자 나가는 습성이 배어 있다고 한다. 어렸을때 아마추어천문가회에 가입한 인연으로 현재 새로운 통합단체인 아마추어천문학회(KAAS)의 ... ...
식물에서 새로운 연료 추출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 같다. 우선 광자에 의해 전달된 에너지 중 얼마만큼이 실제로 사용될 수 있을지 의문인
데
이론적으로는 20~25%가 실용에너지로 전환 가능할 것이다.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된다해도 경제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태양 에너지를 액체연료로 전환해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는 장점은 ... ...
과학용어 통일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런 오류를 걸러내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끝으로 남북한의 과학용어가 크게 다른
데
이를 단일화하려는 노력이 시작될 때에 이르렀다. 우선 상대방의 과학용어를 철저히 연구한 다음 유엔을 통해 단일화협상을 모색해야 한다. 완전통합은 현단계에서 불가능하겠으나 간격을 좁힐 수는 있을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라는 전적(典籍)에는 대동방전도(大東方全圖) 21장을 조선 철종 때 김백온이 만들었는
데
이 지도를 세칭 고산자지도라고 했다고 적혀 있다. 또 이 책을 보면 남북항성도(南北恒星圖)와 동서지구도(東西地球圖) 등도 김백온의 지도임이 명기돼 있다. 이를 통해 김백온과 고산자가 같은 인물임을 알 수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모른다.다른 천문학자들은 그 사라진 질량은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굳게 주장하는
데
이 주장은 목소리가 높고 격렬하기까지하다. 이번에 발견된 두번째 아인슈타인 고리와 관련하여 중재역할을 맡은 은하의 질량은 그 속의 보이는 별들 질량의 8~16배쯤 되는 듯 하다. 이는 실제적인 증명은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한다. 앞에서 소개한 알랜 튜링과는 매우 대조적이었다. 튜링은 극히 비사교적이었는
데
비해 노이만은 항상 파티를 열어서 자신의 박식함을 과시했다고 한다. 한쪽은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나 노이만은 국가과학정책의 최고자문위원으로 일했으며 원자폭탄개발계획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쉽사리 낙관해서도 안된다. 과학자의 작업이라는 것은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데
에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점에서 합당한 새 세계관을 마련하는 문제도 예외는 아니다. 사실상 새로운 세계관과 이에 맞는 새 가치관을 마련하는 일은 어느 시대 어느 시기에 있어서도 꾸준히 진행되어야 하는 ... ...
이전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