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유"(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몸은 남성 마음은 여성과학동아 l2001년 08호
- 남성(XY)이지만 생식기는 여성화돼 있다. 진성간성의 경우 남성과 여성의 염색체(XX / XY)를 공유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등장하는 간성은 아직 정확한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염색체이상을 그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을 뿐이다. 염색체이상에는 간성 외에도 클라인펠터증후군과 ... ...
- 누구나 주인인 또다른 정보의 바다 넌 인터넷 하니? 난 위키한다!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처음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전문가들이 자신들이 경험을 통해 얻은 귀중한 지식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위키위키를 사용했다. 무엇보다도 누구나 쉽게 고칠 수 있고, 링크의 연결이 직관적이고 간단하며, 동일 공간에서 텍스트가 진화할 수 있다는 점들이 위키위키만의 고유한 장점이었다. 이 ... ...
- 절대 뚫리지 않는 철벽 암호시스템과학동아 l2001년 06호
-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 모두 비밀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비밀키는 인터넷에 공유할 수 없고, 이메일로 보낼 수도 없다. 비밀키가 유출되면 정보 유출은 피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따라서 전자상거래 등 전송에 의존하는 데이터의 보안에는 공개키 암호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이정기 인바이오넷 연구소장은 “이들 연구원은 공동 세미나를 개최해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런 세미나들이 연구원에게 지적 자극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 결과가 최근의 공동 연구 추진으로 나타난 것이다. 입주기업의 총자본금이 3백50억원에 이르며 그 동안 모두 4백60억원을 ... ...
- 동물도 생각할까!?과학동아 l2001년 05호
- 원활히 하려면 이것저것 신경쓸 일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인간과 유전자를 거의 99%를 공유하는 침팬지 사회에서는 힘과 나이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른바 ‘인맥’도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우두머리와 친한 침팬지는 자기보다 훨씬 몸집이 큰 동료앞에서 큰 소리칠 수도 있으며, 몸집이 약한 ... ...
-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과학동아 l2001년 05호
- 일격을 가한다. 그는 수업시간에 배워야 할 것이 교과서의 지식이 아니라 그 지식의 공유를 통해 사고하는 능력을 키우고 제대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학생들 입장에서는 철저한 예습과 더불어 조리있게 말해야하는 이중고가 있으니 힘든 노릇이 아닐 수 없다.학생들이 송교수를 어려워하는 ...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울음과학동아 l2001년 03호
- TV 중계방송을 시청하던 온 국민들 역시 짜릿한 감동 속에서 기쁨과 아쉬움의 눈물을 공유했다.슬픔과 기쁨의 순간, 감동과 가슴 벅참의 순간, 아픔과 고통의 순간, 심지어는 하품하는 그 순간에도 등장하는 눈물. 그 신비로움의 정체는 무엇일까.눈에서 나오는 신비한 액체마음의 창이자 건강의 ...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끌만한 것이기 때문만은 아니다.다중인격자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누구나 다양한 성격을 공유하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어느 가수의 노래에도,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라고 하지 않았던가! 다중인격은 인간의 행동을 지배하는 무의식적인 본성과 선과 악의 대립적인 양상을 가장 ...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서로 떨어져나가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즉 증발되기 어렵다는 말이지요. 그래서 물은 공유결합 물질에 비해 녹는점과 끓는점이 비교적 높고, 증발되는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또 수소결합으로 인해 얼음결정이 생기는데, 이때 얼음을 이루는 결정들 내부에 빈 공간이 생깁니다. 그런데 ...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것이다.그러나 공유결합만이 전부는 아니다. 수소와 산소가 똑같은 수준으로 전자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다. 수소보다 산소가 좀더 많은 부분을 가진다. 전자를 빵으로 생각했을 때, 산소가 절반 이상을 가진다는 말이다. 따라서 물분자를 이루는 수소가 약간의 양(+)의 전하를 띠고, 산소는 약간의 음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