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난"(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세이빙 산타 산타의 썰매를 지켜라!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않고 영원히 사는 비결도 뺏을 수 있을 거라고 믿었지. 네빌은 요정들을 포로로 잡아가며 난동을 부리더니, 썰매가 있는 마구간까지 쳐들어왔어!하지만 걱정 마! 내가 네빌을 막을 거니까. 타임머신 썰매를 타고 과거로 가서 산타한테 경고해 줄 거야! 그러면 산타가 네빌의 공격에 대비할 수 있겠지?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보이는군. 흠~, 그림 한 장이면 증명을 하지 않고도 수학 공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난 오래 전부터 증명하지 않고도 그림 한 장이면 공식이 이해되는 그림을 모으고 있는데, 한 번 보겠나? 그럼 먼저 피타고라스 정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림부터 보자고!고대 중국의 수학자부터 미국의 ... ...
- 20세기 기하학의 방향을 바꾼 동양의 작은 거인, 천싱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놀라게 한 것은 커비 교수의 태도였다. 그렇게 빠를 수 있을까 싶은 속도로 의자에서 일어난 그는, 문을 박차고 들어온 동양인 노신사 앞에서 마치 잘못을 한 아이처럼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고개를 숙이며 서 있었다. 바로 이 노신사가 세기의 기하학자인 천싱선이었다. 그의 지도를 받은 적이 있는 ...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때 무슨 생각으로 결정을 내린 거야?”“규칙을 부수는 건 언제든 할 수 있잖아? 난 다시 한번 세상으로 돌아가 숨겨진 규칙을 발견하고 기쁨을 누리는 길을 선택했어. 노력했는데도 규칙들이 맘에 들지 않는다면…, 다시 선택의 기회가 올지도 모르지. 무거운 얘기는 그만하고, 폴리스! 오랜만에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찍은 사진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수정할 때도 수학이 활용된다. 사진에 찍힌 얼굴에 난 잡티를 제거할 때, 잡티 주위 피부색의 평균을 계산해서 그에 맞게 잡티색을 수정해 주는 것이다. 또, 자르기 기능을 사용할 때는 그래프 이론이라는 수학이 쓰인다. 그밖에도 의료영상등에 수학이 활용된다는 ... ...
- 조류전문가 서정화 선생님과 도시에서 우리 새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선생님은 구멍에 손이 들어가는 어린이의 도움을 받아 돌을 많이 꺼냈답니다. 덕분에 지난해 박새가 이곳을 먼저 차지해 새끼를 낳고 번식했어요. 그런데 올해 누가 또 돌을 넣어 다시 구멍이 막혔어요. 새들이 이용할 수 있게 조혜원 명예기자가 돌을 꺼냈지만 모두 다 빼기가 쉽지 않았어요.이렇게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주장은 틀렸다. 그가 예측한 대로라면 인구론이 처음 제기된 1798년에서 200년이 지난 1998년에는 인구와 식량의 비가 256:9여야 했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았다. 맬서스가 인구론을 주장할 당시는 산업혁명 초기로, 20세기 산업이 이렇게 발달할 줄 몰랐기 때문에 틀린 예측을 한 것이다. 산업혁명 이후 ... ...
-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작다고 무시하면 안 돼! 미국 텍사스공대에서 수영 모델로 뽑힌 몸이라고. 사실 난 원래부터 유명한 존재였어. 우리가 워낙 번식을 잘하고 수명도 짧아서 연구하기 쉬운 편이거든. 이미 내 몸과 신경에 대해 속속들이 밝혀진 상태지. 내 신경의 어느 부분이 손상되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자료도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박사처럼 유쾌한 사람이 되길 당부했다. “수학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마다 나는 ‘난 바보니까’를 중얼거린다. 어차피 나는 바보니까 못하는 것은 당연하고, 할 수 있으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면 머리가 한결 가벼워진다.” - 중에서 그는 덧붙여 “수학이라는 학문은 원래 어려운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개구리’도 있다. 주변에 시끄러운 폭포가 있어 귀가 두개골 쪽으로 들어가 머리가 구멍 난 것처럼 보인다. 개나 고양이, 쥐도 초음파를 내는 경우가 있다.소통의 수단, 언어동물언어, 사람언어와 무엇이 다를까?앞서 살펴본 동물의 몸짓하기, 소리 내기, 냄새 맡기 같은 행동을 ‘동물언어’라고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