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고
최상
극상
일등
첫째
가장
으뜸
d라이브러리
"
제일
"(으)로 총 1,157건 검색되었습니다.
튼튼하고 성능좋은 미제 가전제품은 옛말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의료기 메이커인 '톰슨'사에 팔아 버렸다. 반대로 의료기부분은 GE가 사버렸다.GE는 세계
제일
의 의료기 생산업체인 톰슨의 의료기생산라인을 확보함으로써 CAT스캐너, 자기공명장치등 첨단분야에서 승부를 걸고 일제와 한국제 등 아시아에서 오는 값싼 가전제품과의 경쟁은 포기한것이다.한편 ... ...
세계의 억만장자들 PART 1 얼마나 갖고 어떻게 사나?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있다.그럼 이제 세계
제일
의 대부호를 소개 하겠다. 기네스북에 의하면 개인으로서
제일
많은 돈을 자유로이 쓸수있는 사람은 브루네이 왕국의 '와다우라'국왕이다. 어느 정도의 돈을 그가 자유로이 쓸 수 있는가 하면 연간 30억 파운드(약 3조7천7백50억원)의 석유수입, 그리고 1백억 파운드(약 12조5천 ... ...
환상의 세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학자를 보내 거기에서 번역작업을 하도록 하였다. 그들은 구약 성경을 당시 세계에서
제일
중요한 지역이었던 그리스를 의식, 그리스어로 번역해야 했고, 그들은 많은 시간을 가지지 못했다.'프톨레마이오스'왕은 그들에게 단지 72일만을 주었다. 따라서 그리스의 구약성서는 많은 언어적인 착오를 ... ...
바다의 약탈자 상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연간 약 50만 t으로서 전세계 어획량의 1%에 해당한다. 이렇게 많이 잡히는 상어는
제일
먼저 식용으로 이용된다. 이태리에서는 상어의 살을 고급요리로 꼽고 있으며, 신선한 상어는 생선회로 이용한다. 특시 상어의 지느러미는 '샥스핀'이라 하여 중국요리에 많이 이용된다. 그밖에도 상어를 ... ...
개방시대의 기술자립 기초 연구의 활성화가 해결책이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바쁘던 민족이 바로 우리 한민족이 아니었던가? 그래서 난 우리 텔리비전이 세계
제일
의 미국시장에서 판치고 우리 자동차가 미국의 하이웨이를 질주하고 있는 현실을 뿌듯한 고마움으로 받아 들인다. 서러움과 눈물 많았던 4천만의 국민이 이제 우리도 해낼 수 있다는 긍지감을 현실성 있게 접해 ... ...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연구원의 세가지 계층 연구소의 주인이라 할 연구원에는 크게 3가지 계층이 있다.
제일
위에 있는 책임연구원은 연구를 관리하고 연구결과에 책임을 지며 프로젝트를 따와 연구실 식구를 먹여살리는 역할을 한다. 선임연구원은 허리의 기능을 한다. 연구를 직접 지휘하고 이론적인 지원을 하며 ... ...
한국과학기술의 미래 자립이냐 종속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그후 한국에서의 제조 능력이 생기자 ‘도레이’는 기술 판매를 제의해 왔지만 정부는
제일
합섬에게 도입을 금지시켰다. 결국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던 폴리에스터 필름을 이제는 수출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불평등 계약과 대일의존의 문제 기술도입이 국내의 기술능력 향상에는 이바지했지만 ... ...
환락의 극치에서 폐허로 폼페이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마차가 지나간다. 바쁘게 오고 가는 군중의 소란….지금부터 약1천9백년전, 로마제국
제일
의 항구이고 국제상업 도시인 폼페이(Pompei·이탈리아 남부 나폴리만의 캄파니아 지방에 있었다)는 번영의 정점에 있었다. 즐겨라, 생명이 있는날까지이땅에는 기원전 5세기경에 이미 그리스의 식민도시가 ... ...
'우리 마을 아니라면 원전 건설 찬성'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위험에 직면하기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그 밖에 주요한 조사결과를 보면 원전에서
제일
중시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안전성(70.8%)과 공해방지(12.9%)를 경제성(9.7%) 보다 많이 꼽았으며, 우리나라 원전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응답(48.3%)이 부정적인 답변(16.4%) 보다 많았다. 또 응답자의 51.5%가 ... ...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아보자.우리가 책상 위에 놓인 물체가 무엇인지 아는
제일
쉬운 방법은 전등을 켜고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을 눈으로 보는 것이다. 라더포드가 원자핵을 '본'방식도 마찬가지였다. 즉 그는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물체인 원자핵을 빛 대신 α선을 쪼여 눈이 아닌 방사선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