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칼"(으)로 총 1,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은 내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71105
- 위트콤 박사와 미국의 댄 마이어 박사는 칼 삼키기의 부작용을 연구해 2007년 이그노벨 의학상을 받았어. 이들은 16개국 110명의 칼 삼키는 사람을 조사했다고 해. 대단하지? 침대에 사는 벌레와 세균을 연구한 네덜란드의 조안나 박사는 생물학상, 침대 시트가 구겨지는 원리를 연구한 미국의 엘 마하데반 교수와 칠레의 엔릭 빌라블랑카 ...
- 괴물동물원 비밀노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70810
- 준다. 위턱에 29개씩 모두 5줄, 아래턱에는 30개씩 5줄의 이빨이 나 있어 모두 290여 개의 날카로운 이빨을 가졌다. 상상해 보면 290개의 칼을 입 안에 주렁주렁 달고 있는 셈이다. 요 녀석의 입에 한번 들어가면 살아남지 못할 것 같다. 그런데 설마 저 이빨로 나의 소중한 대왕오징어를 잡아먹는 건 아니겠지…? [소제시작]괴물동물원 도심 ...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0731
- 스포이드, 송곳,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 비커 또는 컵 1. 흰 종이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자르고 위쪽과 아래쪽 가운데에 1㎝ 정도 칼집을 넣어 빨대를 끼우고 눈금을 그린다. 2. 필름통 뚜껑 중간에 송곳으로 빨대가 들어갈 구멍을 뚫는다. 3. 필름통 안에 물을 반 정도 넣고 빨간 잉크나 물감을 한두 방울 섞는다. 4. 필름통 뚜껑을 닫고 뚜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형태로 잠시 쉬고 있다가 익히지 않은 민물고기를 먹은 사람의 몸으로 다시 들어가는 거야. 말린 민물고기, *피낭유충이 묻은 칼이나 도마와 행주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어. 일단 사람의 알이 몸 속으로 들어오면 십이지장에서 알주머니를 빠져나와 혈관을 따라 간으로 간단다. 참 긴 여행이지? 내가 간에 있으면… 내가 처음 간에 정착할 때 사람들은 별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수 있단다. 왜 그렇게 왱왱거리니? 우리 파리, 모기는 날 때 매우 빨리 날개를 움직여. 이 때 공기가 떨리며 왱왱 소리가 나는 거야. 칼을 빨리 휘두르면 휙휙 소리가 나는 것과 같아. 특히 수모기는 ‘애앵’하는 암모기의 날개소리로 상대를 찾아 짝짓기를 한단다. 모기 날개 소리는 사랑의 소리인 셈이야. 피를 빠는 파리도 있다고? {BIMG_R1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1)어린이과학동아 l20070511
- 그대로이면서 색깔도 없고, 냄새도 안 나는 상태로 변한다. {BIMG_R11}▶ 수술할 때 사용하는 감마 나이프는 뇌에 생긴 암세포나 혹을 칼을 대지 않고 치료할 수 있게 도와 준다. {BIMG_R12}▶ 감마선을 쪼인 꼬마 무궁화. 크기가 50㎝밖에 되지 않고 벌레도 많이 생기지 않아 집에서도 키울 수 있다. [소제시작]유전자 조작 슈퍼영웅 ...
- 미리 입어 보는 미래의 옷(1)어린이과학동아 l20070314
- 피부는 연약하기 때문에 인류는 몸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옷을 만들었다. 대표적인 것이 갑옷. 단단한 금속으로 만든 갑옷은 칼과 창을 막아 주었다. 반면 너무 무거워서 갑옷을 입으면 잘 움직이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이후 갑옷을 뚫는 총이 개발되자 방탄복이 개발되었다. 방탄복은 질긴 인조섬유를 여러 겹 겹쳐서 만드는데, 마치 물고기를 잡는 ...
- 2006 최고의 과학 발명품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3
- 것이다. 그런데 줄자가 의외로 무서운 흉기가 되기도 한다. 길이를 잰 뒤 갑자기 재빠르게 감기는 줄자의 날은 사용자에게 웬만한 칼보다 더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다. ‘2006년 대한민국발명대전’에서 금상을 수상한 ‘코메론 안전 줄자’는 버튼을 눌러 줄자를 고정할 수 있다. 곰처럼 힘센 구조 로봇 베어로봇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를 보면 한 ...
- 2 놀라운 세상 - 우린 꼭 한쌍이여야 해!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돼 버리지요. 우린 항상 함께 다닌답니다. 둘이 만나 한가지 일 두 개의 막대기가 만나 우리가 음식을 먹는 젓가락이 됩니다. 두 개의 칼이 만나 더 쉽게 자를수 있는 가위가 되지요. 한국인은 쇠 젓가락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재주가 좋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 봤죠? 정교한 움직임과 힘 조절이 필요한 젓가락을 사용하면서 손기술이 좋아진 거죠. 가장 오 ...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4
- 물질인 ‘화약이 발명된 후 그 위력을 이용한 새로운 무기들이 만들어집니다. 최초의 총, 최초의 대포가 그것이지요. 이전의 칼과 활, 투석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위력을 가진 화약무기를 대량으로 만들기 위해 금속산업이 크게 발전합니다. 그리고 대포로 목표물을 정확히 명중시키기 위해 탄도학 등 수학 수준도 높아집니다. 바다를 정복하면 세계를 정복한 ...
이전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