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뉴스
"
선진
"(으)로 총 1,526건 검색되었습니다.
[ESC의 목소리(7)]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정책 제안
2016.12.17
연구 활동을 지속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한국에서 교육받은 토종 과학자들도
선진
외국으로 빠져나가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단기적 목표와 갖가지 규제 강화, 연구비 조달의 어려움, 그리고 과학기술자 처우 개선에 대한 정부 조치의 부재가 전문인력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경쟁력을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막고 다니는 의상이라서 산소부족이 원인일 수 있다는 추정이 많다. 하지만 해외
선진
국보다 사우디의 게놈(genome) 연구가 늦게 시작돼 아직 명쾌한 답은 없는 실정이다. 사우디는 뒤늦게 10만 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3년의 게놈 연구를 돌입했다. 연구는 KFSHRC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정부가 ... ...
국내 온실가스 배출 2030년까지 3억1500만t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이번 계획은 11월부터 발효되기 시작한 파리기후협약에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다. 37개
선진
국만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었던 이전 협약(교토기후협약)과 달리 파리기후협약에선 197개 모든 가입국에 감축의무가 있다. 우리나라는 파리기후협약에서 2030년경 무렵 온실가스 발생 예상치의 37%를 ... ...
농사 초보자도 농장 운영 가능해졌다
2016.11.22
전체를 공장처럼 관리한다. 김세한 ETRI IoT플랫폼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선진
국과 비교하면 스마트팜 기술이 10년 정도 뒤처진 상태”라면서도 “국내 비닐하우스 형태의 온실에 맞는 한국형 스마트팜을 개발하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밝혔다. ... ...
연구실 기술을 시장으로… ‘랩 투 마켓’으로 바이오산업 육성”
2016.11.07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랩 투 마켓은 미국 등 바이오
선진
국에서도 실효를 거두고 있다. 미국국립보건원(NIH) 스티븐 퍼거슨 특별자문은 이날 오후 진행된 ‘국가별 정책 동향’ 세션에서 “NIH의 공동연구개발계약(CRADA)이 랩 투 마켓의 성공사례가 될 것”이라고 ... ...
우리 딸, 수학자로 키워도 될까
2016.10.31
여러 사회문화적 요인이 수학 성적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선진
국에선 교육에 있어서의 성 격차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습니다. 이런 노력들이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도 최근 나와 눈길을 끕니다. 미국 온라인 경제 매체 ... ...
“새로 생겨날 직업 많아 소프트웨어 교육 꼭 필요”
2016.10.26
느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조 강연이 끝난 뒤엔 미국과 영국 등 소프트웨어 교육
선진
국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바람직한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을 논의하는 패널 토론이 열렸다.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이 바라는 소프트웨어 교육 방식에 대해 듣는 토크콘서트도 개최됐다 ... ...
과학계 새롭게 떠오르는 일자리 ‘연구장비 전문가’
2016.10.11
국내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2007년 기준 약 17%로, 독일(42.4%)이나 프랑스(42.0%), 일본(24.3%) 등
선진
국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 STEPI는 보고서를 통해 “전문기술인력은 연구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 필수적인 인력인 만큼 그 전문성을 인정하고 안정적으로 고용할 필요가 ... ...
[연구자율성 높이자] 노벨상 수상자 104명 연구비 최초 분석
과학동아
l
2016.09.29
연구자가 NIH의 지원으로 원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송민경 디렉터는 “콘트랙트는
선진
연구 성과를 빠르게 따라가는 추격형 연구나 급히 필요한 연구과제(감염성 질환 치료제 개발 등)에 적합한 지원 방식”이라며 “노벨상을 비롯한 선도형 연구 성과는 그랜트 형태의 지원을 받은 연구에서 ... ...
“연구 지원제도 개혁하라”… 뿔난 대한민국 과학자들
2016.09.27
확대다. 호 교수는 “정부 총 R&D의 6% 미만에 불과한 자유공모 기초연구 규모를
선진
국 수준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경우 자유공모 기초연구지원사업의 비중이 정부 R&D(국방비 제외)의 40% 이상이다. 호원경 서울대 의대 교수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올린 청원서 일부. -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