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4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해수면 온도 변화 없는 것도
지구
온난화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이유이다. 박원선 교수는 "연구를 지속하다보면 온난화와는 무관해 보이는 현상도
지구
온난화의 결과물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며 "기후 현상을 더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기후 모델을 보다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정섭 뮌헨대 박사가 17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 ...
탄소 저장고인 남극 바다가 오히려 탄소 배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이산화탄소의 절반 정도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남극 바다는 이 역할의 40%를 감당하며
지구
의 탄소 순환 균형을 맞추고 있다. 그런데 남극해의 탄소 흡수 기능에 변수가 생겼다. 박기홍 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책임연구원, 모아라 연수연구원, 김태욱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2017년 3월에서 201 ... ...
갑각류 껍질 활용한 신개념 중금속 제거제‧점착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22
자원을 활용해 유용한 탄성체 대체물질 후보를 만든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지구
환경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신물질 및 기술 개발로 인류에 기여하는 연구자로 성장하고 싶다”고 밝혔다. 새우, 게 등 갑각류의 외골격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고분자 물질인 키틴에 신개념 친환경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과정이고 이로 인해 병이 생기면 감염병이라 한다. 진화론에 따르면 약 46억년 전
지구
가 생겨나고 그로부터 약 10억 년이 지난 후 단세포 생물이 처음 생겨났다. 그 후로 진화를 거듭하여 다세포 생물이 생겨나는 동안 단세포 생물은 다세포 생물에 침입하여 생존하고자 했고 다세포 생물은 침입한 ... ...
또다른 코로나19 '감염병X' 5~10년 내 온다…“초기 진단 100건이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8.22
못한 종류의 것이거나 어떠한 치료제도 효과가 없는 질병일 수 있다”면서 “전
지구
적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된 모든 문제를 공유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했다. 뮌헨(독일)=한국과학기자협회 ... ...
아름답지만 생태계에 치명적인 오렌지색 곰팡이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해양을 조사하는 데 사용되며 암초에서 실질적으로 새로운 종을 발견하고 있다. ‘
지구
보호’ 부문에서는 로베르토 가르시아-로아 스웨덴 룬드대 박사후연구원이 포착한 양봉 프로젝트 이미지가 우승했다. 아프리카 기니의 침팬지보호센터에서 지역주민들이 꿀을 재배하도록 장려하는 이 ... ...
한국,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올림피아드 국가 종합 10위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우주론, 우주기술 등의 분야에서 폭넓게 출제됐다. 올해는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하여
지구
를 방어하는 ‘소행성 방향 전환 실험’과 중력파 검출을 위한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 등 13문제가 출제됐다. 망원경 관측은 ‘스타링크 위성의 각속도 측정과 위성 사이의 간격 계산’ 등 4문제, ... ...
[르포] 원자 수놓아 맥주잔 그린다…獨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민감하다”라고 표현했다. 건물에 있는 엘리베이터 2대가 모두 고층이나 저층에 몰릴 때
지구
자기장에 한참 못 미치는 밀리가우스 수준의 미세한 자기장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것만으로도 실험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 광학 경자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림. 미국 NIST 웹사이트 캡처. 이처럼 ... ...
빙하 녹으면 새 식물종 생겨...생태계 급변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빙하의 감소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75년까지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이 3배로 증가하는 시나리오에선 2020년 기준 빙하 면적의 절반이 2100년까지 사라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만약 205 ... ...
31일 '슈퍼블루문' 뜬다…놓치면 14년 기다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8.20
달이
지구
와 가장 근접한 지점에 있을 때 뜨는 보름달을 '슈퍼문'이라고 한다. 달이
지구
에서 가장 멀어 떨어졌을 때인 '원지점에서의 보름달(미니문 또는 마이크로문)'보다 14% 더 크게, 30% 더 밝게 관측된다. 블루문은 양력을 기준으로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뜰 때의 두 번째 보름달이다. 춘분,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