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스페셜
"
이름
"(으)로 총 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암세포를 죽일 수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 이충환 "2월 1일부로 IBS 연구단의
이름
을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Center for Genomic Integrity)'으로 바꿉니다. 유전체 항상성이란 유전체가 대부분은 나쁜 쪽으로 변하는데, 그렇게 변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메커니즘이죠." 명경재 UNIST 생명과학부 특훈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암흑물질이란 우주의 상당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상의 물질이다.
이름
그대로 암흑, 일반적인 수단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위대한 과학자들이 수없이 하늘을 들여다 봤음에도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을만하다. 암흑물질은 우주의 밀도와 물질분포에 큰 영향을 주므로 우주가 탄생할 때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손택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제시한, ‘어떤 사물에다 다른 사물에 속하는
이름
을 전용(轉用)하는 것’이라는 은유의 정의를 따른다고 설명한다. 즉 어떤 질병이 본질적으로 그 질병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의미를 갖게 되면서 그 질병을 앓는 환자들에게 병으로 인한 고통 이상의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눈 위에서 타는 ‘스너퍼(Snurfer)’를 선보였다. 1971년에는 ‘스노보드(snowboard)’로
이름
을 바꾸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뛰어들었다. 최초의 스너퍼 대회는 1968년부터 개최됐고 1980년에는 스노보드 대회로 명칭을 바꾸어 계속됐다. 스노보드는 스키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전파됐다. 1993년 미국의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
KOITA
l
2015.02.09
바로 ‘하버쿡.’ 구약성서에 ‘하박국’이라는
이름
으로 나오는 예언서에서 따 온
이름
이다. 정확히는 1장 5절인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너희는 열국을 보고 또 보고 놀라고 또 놀랄지어다.’라는 구절을 인용한 것. 한 마디로 다들 놀라 자빠질 항공모함을 만들겠다는 포부였다.하버쿡의 사양은 ... ...
[Tech&Design] ‘특별하게 이상한’ 자동차들
KOITA
l
2015.02.02
도어, 앞쪽으로 가위처럼 기울여서 여는 문은 거부하기 힘든 매력이긴 하다. 어찌 보면
이름
을 절묘하게 잘 지은 셈이다. 출처 Listverse 저자 Patrick Fuller 번역 및 재구성 김택원 동아사이언스 기자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페퍼는 인류에게 전환점이 될 것이다. - 손정의 지난 1970년 미국 SF작가협회는 1929년에서 1964년까지 발표된 SF단편을 엄선해 1970년 ‘SF 명예의 전당’이 ... 영어 서비스밖에 안 된다는 것이다. 빨리 한국어를 구사하는 페퍼가 나왔으면 좋겠다.
이름
은 이미 정해놓았다. 헬렌 페퍼.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는 주기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추류모프-게라시멘코는 1969년 구소련의 발견자들
이름
이다. 인류가 그 주기를 발견한 최초의 혜성인 핼리혜성은 1P/핼리로 명명돼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주기다. 핼리 혜성이 76년의 주기를 혜성 67P는 6.45년의 주기(태양의 둘레를 한번 도는 시간)를 가지고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
KOITA
l
2015.01.26
과제를 반복하던 중 4000번째 시도에서 그 단백질을 찾았다. ‘메소텔린(mesothelin)’이라는
이름
의 단백질이 췌장암이나 난소암, 폐암에 걸렸을 때 수치가 증가했던 것이다. 이제 이 단백질을 인식하고 췌장암을 진단하는 도구를 만드는 일만 남았다. 안드라카는 ‘탄소나노튜브(CNT)’로 암을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사실을 알아냈다. 먼저 주목해야 할 것은 ‘정상시유발전위(SSVEP)’라는 다소 복잡한
이름
이 붙어 있는 뇌파다. 이 뇌파는 시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나타난다. 시각중추인 뇌의 후두엽 근방에서 생긴다. 가령 문자표를 만들어 보여주면 시신경이 자극을 받아 뇌파가 생기고, 다소 복잡하지만 이런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