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냉동 청원 기각한 미국 병원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살아봤자 뇌세포만 파괴돼 미래의학으로 수술을 받을 경우 성공할 확률만 떨어뜨린다는
데
있다.인간을 냉동시키는 기술은 이미 1967년부터 시행되었다. 현재까지 전세계 냉동인간 수는 수백명선이며 미국에는 냉동인간을 만들어내는 회사까지 생겼다.냉동수술은 신청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곧바로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복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미국의 거덴(Gurden)박사가 복제개구리의 창제에 성공한
데
이어 스웨덴의 호페(Hoppe)와 일렌세(Illensee)박사팀은 우리와 같은 포유류인 쥐에서 복제생쥐(클론생쥐)를 만드는 개가를 올린 바 있다.이제 복제인간의 출현을 굳이 불가능한 일이라고 우기기도 어렵게 되었다.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경우를 시행해서 결과를 유출해 낼 수도 있다. 이를 몬테 칼로(Monte Carlo) 방법이라 부르는
데
, 무작위로(random) 숫자를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50명에게 무작위로 생일을 주고 같은 생일을 가진 사람이 있나 검토하는 것을 무한히 반복하면 이론상의 결과와 같아질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 ...
환경원년 돌아보는 공해추방운동연합 최열 공동의장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는 일은 민간환경연구센터를 개설하는 것이다. 실험·분석의 최소장비를 갖추는
데
만 약 5억원의 경비가 들 것으로 예상되는 이 연구센터를 국민모금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 그는 언론계 등 각계의 인사들과 분주히 접촉하고 있다.특히 그는 환경공학 등 전문과학기술에 능통한 사람은 많아도 정작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최근에는 인간게놈(인체유전자)연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체유전자 전체를 분석하고 그
데
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총체적 접근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DNA를 조작하는 유전공학적연구는 최종산물인 단백질을 효율적 경제적으로 생산해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효능이 우수한 신기능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요컨대 DNA재조합기술 유전자도입기술과 같은 유전공학기술은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은 고부가가치 단백질의 대량생산, 유전병의 치료, 작물과 가축의 품종개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잠재력은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학적인 적성이 요구되며 교과내용 속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데
이터베이스 등이 포함된 한편 하드웨어 분야로 전자계산기 구성, 논리회로 등이 있다.오늘날엔 LAN(근거리 통신망) VAN(부가가치 통신망) ISDN(종합정보 통신망)등 첨단의 미디어와 컴퓨터 통신망을 연결해 정보의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람의 뇌와 닮은 뇌를 갖고 있는 「마린보이의 친구」는 배가 고파 육지에서 바다로 이사갔다.지난 여름 서울대공원을 찾은 관람객들이 환성과 감 ... 거칠어질 때까지 머물러 새끼의 버릇을 고쳐준다고 한다.종류에 따라서는 어미가 되는
데
6년이 걸리는 것도 있고 보통 수명은 15~30년이다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형태로 분리되기 시작했다.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을 만든다고 여겨지는
데
옥시리보핵산(DNA)을 생산하기도 했다. 또 이 병에 걸린 햄스터의 뇌조직세포와 정상적인 뇌세포에서 메신저 리보핵산(m-RNA)의 존재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 발병 메커니즘을 알아내려는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장미속에 집어넣는 것은 오히려 간단하다.현재 이 일을 주도하고 있는 캘리포니아대학
데
이비스분교 스테판 베노이트연구팀은 2개조로 나눠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이미 몇몇 후보를 찾아냈다. 다음으로 우리가 할 일은 이 '푸른'유전자를 붉은 장미에 이식시킨 뒤 과연 푸른 장미가 피는가를 ... ...
이전
1118
1119
1120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