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느낌
감촉
센스
인지
직감
지각
감응
d라이브러리
"
감각
"(으)로 총 1,555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인간 생명은 언제 시작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설명이다.뇌는 크게 대뇌, 소뇌, 뇌간의 세부분으로 구분된다. 대뇌는 운동 -
감각
을 지배할 뿐 아니라 기억이나 사고와 같은 정신활동의 중심이다. 소뇌에는 운동조절 중추가 있어서 몸의 평형을 유지하고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이들에 비해 뇌간은 인체 모든 장기의 기능을 통합·조절하는 ... ...
인류의 건강을 지켜준 비타민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그 지역 사람들이 각기(脚氣)를 앓는다는 것을 알게 됐다. 각기는 다리가 붓고 손발에
감각
이상이 오는 병으로 갑자기 발병해 구토를 일으키다가 심하면 1-3일만에 죽음으로 몰아간다. 에이크만은 그 병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현미를 먹는 사람은 걸리지 않고, 백미를 먹는 사람들이 주로 걸린다는 ... ...
1. 관상 어디까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사람이라면 1-2mm의 차이라도 그야말로 "척보면 알아볼 수 있다"고 한다. 얼마나 예민한
감각
으로 인상적 특징을 잡아낼 수 있느냐 하는 것이 유능한 관상가의 첫째 조건인 것이다.습관화된 표정에서 과거 짐작조용진 교수는 "인상은 평생에 걸쳐 변한다"는 말로 관상의 원리를 설명한다. 사람은 ... ...
플라스틱 시대를 연 베이클라이트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대신 인공빛만 쬐도 인화가 되는 벨록스를 발명해 큰 돈을 벌었다.천부적인 사업
감각
을 가졌던 그는 뭔가 돈벌이가 없을까 연구하던 중 독일의 위대한 화학자 폰 바이어(1835-1917)가 1872년에 썼던, 페놀과 알데히드를 반응시키면 수지같은 것이 생긴다는 논문을 찾아냈다. 그는 30여년 동안 아무도 ... ...
오감을 뛰어넘는 초
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ESP의 존재를 관찰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요컨대 명상으로 잡념을 없애는 것처럼
감각
박탈로 잡음을 감소시켜 ESP의 자발적 출현을 유도하려는 기법이 간츠펠트 실험이다.간츠펠트 실험은 세사람에 의해 진행된다. 수신자는 방음된 방에 편안히 앉아서 시각과 청각의 흩뜨러짐을 방지하는 조처를 ... ...
세계인구 반 이상이 심령 현상 경험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연구하는 과학이라는 의미에서 초심리학이라는 용어가 채택되었다.라인은 1934년 ‘초
감각
적 지각’을 펴낸다. 심령연구의 역사에 이정표를 세운 명저로 평가된다. 라인은 1965년 정년퇴임하면서 듀크대의 연구실을 ‘초심리학 연구소’로 확대개편한다. 이 연구소는 1995년 라인 탄생 1백주년을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하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수면이라고 단정짓기 위해서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뿐 아니라
감각
자극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지고 체온이 유지되는 데다가, 특히 특정한 모양의 뇌파가 나타나는 것 등의 기준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위에 언급한 동물들을 비롯해 어류나 양서류의 경우에도 움직임 이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대해 어린이들은 '왜?'라는 질문을 입에 달고 다닌다. 그러다 어느 순간 입을 다물고 무
감각
한 표정을 짓는다. 그러면서 이런 말을 한다. '과학은 너무 어려워!' 과학은 정말 어려운 것일까. 이에 대해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어려울 뿐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그는 바로 한국원자력연구소와 제원호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위 신경의 자극전달 경로를 막는 것이기 때문에 의식은 완전히 깨어있으면서 특정부위의
감각
만 없어지는 것이다.뇌활동의 측면에서 보면, 마취상태는 수면 상태와 더욱 확연히 구분된다. 인하대 신경과 이일근 교 수에 따르면, 수면시의 뇌파는 마취상태의 뇌파와 완전히 다른 특징을 보인다고 ... ...
3. 생명현상 조절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다른 물체와의 충격이 전기를 발생시킨 것은 아니다. 하지만 몸에서 느껴지는 찌릿한
감각
은 몸속에도 전기가 만들어져 흐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섭취한 음식이 분해되면서 만들어진 화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바뀌면서 우리 몸의 그 무엇인가를 조절하고 있다면 이런 과정에서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