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로"(으)로 총 1,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장산술에도 유클리드 호제법 나온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풀이법이 은근히 강조하려던 포인트는 아마도 고리 모양의 밭 넓이가 바로 가로와 세로가 각각 l과 d인 직사각형의 넓이라는 점이었을 것이다. 고리 모양의 밭 넓이가 직사각형 밭 넓이와 같다는 사실이 재미있지 않은가.궁금증풀이Q: ‘유클리드 호제법’이 뭐예요 ?A: ‘유클리드 호제법’(Euclidean ... ...
-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정확하게 나온다.5. 줄눈 위의 대응점을 찾아서 동심원 e와 f 사이에도 같은 수의 가로 세로 줄눈을 치고 대응점을 찾아 연결한다.6. 같은 방식으로 동심원 f와 g, g와 h 사이에도 눌린 원을 그릴 수 있다.황제의 권위 상징하는 월계수만테냐는 천장 복판의 우물 안팎에 날개 달린 어린 푸토들이 장난치며 ... ...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디지털 카메라라면 대각선 길이가 1/2(12.7mm)인치인 사각형 모양의 CCD에 가로 2천48개, 세로 1천5백36개의 화소가 배열돼 전체 화소수가 약 3백만개(2천48×1천5백36=3백14만5천7백28)라는 뜻이다.따라서 일반 카메라와 비교할 때 렌즈나 셔터 등의 기본 구조가 거의 비슷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CCD는 성능과 ...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관찰된다. 갈매기 모양의 길쭉한 균으로, 크기는 가로 2-7㎛(미크론, 1㎛=10-6m)이고, 세로 0.4-1.2㎛정도이다. 5-6개의 길다란 편모를 갖고 있어 미꾸라지처럼 자유자재로 운동한다. 이 편모를 이용해 점막을 뚫고 자리를 잡아, 점막 표면에 기생할 수 있다.또 헬리코박터균은 강산인 위산의 공격에 대한 ... ...
- 1. 단군성전은 실재하는가과학동아 l2001년 01호
- 발굴한 단군릉은 석조로 된 고구려양식의 무덤으로 관을 안치한 무덤칸은 가로 2백73cm, 세로 2백76cm이고, 천장높이는 1백60cm이다. 무덤칸의 바닥에는 3개의 받침이 남북 방향으로 놓여있고 그 위에 뚜껑돌이 덮여 있다. 단군릉이 고구려양식인 이유는 고구려시대에 무덤을 개축했기 때문이라고 ... ...
- 1. 공중에 솟은 정원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명령했다. 왕의 명령을 받은 건축가는 곧장 작업에 들어가 왕궁의 광장 중앙에 가로·세로 4백m, 폭 15m의 토대를 세우고 그 위에 계단식 건물을 세웠다. 한층이 만들어지면 그 위에 기름진 흙을 옮겨 놓고 넓은 발코니에 잘 다듬은 화단을 일궜다.그렇다면 이쯤에서 진짜 공중정원을 건설한 사람은 ...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과학동아 l2000년 12호
- 하나가 발견됐다. 고인돌에서 3m 정도 떨어진 땅 속에서 발견된 이 돌판은 가로 23.5cm, 세로 32.5cm에 두께가 4.1cm였고, 표면에는 지름 2-7mm의 크고 작은 홈이 65개나 파여 있었다.먼저 아득이 돌판에 새겨진 구멍들이 별자리임을 확인하기 위해 박창범 교수는 이미 확인된 고구려고분과 북한고인돌 별자리 ... ...
- 2. 모솔왕의 대형무덤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모솔왕을 위해 그리스의 할리카르나소스(현재 보드륌)에 건조된 무덤을 뜻한다. 가로·세로의 길이는 32×38m, 총 높이는 거의 50m로, 당시까지 세워진 무덤으로서는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제외하고 규모가 가장 컸다. 모솔왕의 생전에 착공돼 그가 죽은 뒤 왕비 아르테미스가 계속 진행했으며, 실제로 ...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과학동아 l2000년 11호
- 별의 맥을 짚는 방법 별의 스펙트럼형(표면온도)을 가로축으로 그 별의 절대광도를 세로축으로 잡고 별들의 분포를 나타내면 재미있는 결과를 얻게 된다(그림). 이런 그림을 ‘HR’도 라고 부르는데 처음 만든 덴마크의 헤르츠스프룽과 미국의 러셀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이다. 가장 많은 별들의 ...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과학동아 l2000년 10호
- 허블의 논문(1929년)에 실린 것이다.가로축은 은하들이 지구에서 떨어져 있는 거리이며,세로축은 그 은하들이 멀어지는 속도를 가리킨다.이때 두관계를 직선으로 그어 기울기를 구할 수 있는데,이것이 바로 허블상수다.허블상수는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 관측값에서 조금만 차이가 발생해도 크기가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