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역"(으)로 총 1,935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스터리의 버뮤다 삼각지대기사 l20200118
- 버뮤다 심해저에 메탄하이드레이트 층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 계획에 참가했던 미국의 리처드 맥클버 박사는 이 지역의 하이드레이트 층이 갑자기 붕괴된다면 가스가 포함된 저밀도의 진흙이 분출되어 엄청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메탄하이드레이트는 오늘날 대체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천연가스 에너지원으로, 심해저의 저온과 고압 ...
- 신문박물관에서 기자가 되보았다!-기사 l20200115
- 위로 올라갈 때 종이가 나오는데 그냥 백지가 나오다 점점 잉크가 묻으며 나오는 게 매우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포장되는데 신문이 지역별로 묶여서 포장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배송하려고 신문이 나가는 곳에 왔습니다. 원래 일반 어른 신문은 나가는 통로가 5개가 사용된다는데 어린이 신문은 한 통로 밖에 사용 안한다고 합니다. 그 과정을 다 ...
- 섭섭박사님과 함께한 3D펜 체험기사 l20200112
- 박소은기자입니다. 저는 지난 1월 9일 목요일에 동아사이언스에 3D펜 체험을 다녀왔습니다. 제가 살고있는 지역의 과학축제에서 3D프린터를 경험한 적이 있어서 더욱 기대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많은 분들이 3D 프린터나 3D펜에 대해서 대부분 아실거라 생각되지만 간략하게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우선 3D프린터와 3D펜은 PLA필라멘트라는 재료를 ...
- 과학을 인권으로, 마누 프라카시기사 l20200106
- 프라카시는 별다를게 없는 한 장난꾸러기 소년이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꾼 사건이 있었습니다. 프라카시는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서 학교에 입학했습니다. 하지만, 그 학교에서 과학 시험을 쳤는데 그 문제가 바로 '현미경 그리기' 였습니다. 하지만, 프라카시는 현미경을 그리지 못했습니다. 일생에 한 번도 보지 못한 현미경을 그려야 ...
- 지진과 지진사례, 지진 대피요령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191216
- 예정된다고 합니다. 필리핀은 '불의 고리' 로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자리잡고 있어 연중 크고 작은 지진이 잦습니다. 민다나오 지역에서는 지난 10.11월에 4차례의 강력한 지진이 덮치며 20명이 목숨을 잃은 사례도 있었습니다. 3. 한국 지진 사례 과연 한국에는 지진이 없었을까요? 당연히 있죠. 한국은 이웃국가인 중국과 일본에 비해 상 ...
- 맛있는 햄버거, 지구 온난화와 연관이 있다고?기사 l20191209
- 심하고, 해일이나 지진, 산사태가 일어나기 쉬워요. 반면, 아프리카 같은 힘든 나라들을 떠올려 보세요. 방글라데시, 투발루, 아프리카 지역 등. 투발루같은 섬나라는 잘못이 없는데 지구온난화 때문에 빙하가 녹아 섬이 물에 잠기는 피해를 보고 있어요. 북극곰은 잘못이 있나요. 빙하가 녹아 죽고 있는데요. 사실 한 명 당 햄버거를 5개만 줄여도 힘든 ...
- 아마존 탐사기 북토크를 다녀와서기사 l20191209
- 연구원님께서 계셨던 연구소의 위치(출처: 전종윤 연구원님의 PPT) 전종윤 연구원님께서는 아마존에서 ‘시크릿 포레스트’ 라는 지역의 연구소에서 일하셨습니다. 연구소에는 침실과 연구실 등이 있고, 연구실 밖에는 화장실, 샤워실도 있다고 합니다. 작가님의 연구실 안에서는 채집해온 동물의 길이, 무게 측정 및 도감도 찾아보는 곳도 있었습니다. 아 ...
- 겨울방학에 체험하기 좋은 을 소개합니다!!기사 l20191203
- 내서 어린 아이들은 무서워할 것 같습니다. 큰 낫 도마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크기가 4~8m 정도 되었다고 하고, 주로 아시아 몽골 지역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날카로운 손톱 때문에 육식으로 오해를 받았지만, 무딘 이빨을 봐서는 초식이거나 작은 동물 정도를 잡아먹는 잡식성 공룡이었을 것이라고 합니다. 이곳은 어두 ...
- 온새미로 - 191129 - 1탐사기록 l20191129
- 약 30개체 이상 확인, 지역에서 관찰은 처음임 (소리만 들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1209 뱁새(붉은머리오목눈이) ...
- [UN 청소년 환경 총회 2019] 우리는 MUNer, 총회는 끝났어도 실천은 이제 시작. 나의 작은 실천으로 세상을 바꾸자!기사 l20191125
- 멀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내가 키우는 식물과 동물들에 대해서 애착을 가지는 것처럼, 생물다양성 활동을 하게 되면 그렇게 알게 된 지역의 식물과 동물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고 지켜주고 싶어지고 이 생물들과 내가 함께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스스로 생각해보게 됩니다. 관심을 가지고 알게 되었을 때, 그 생물들이 보이기 시작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