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성교
면밀한 솜씨
섹스
가훈
가정교훈
그리스정교
뉴스
"
정교
"(으)로 총 1,156건 검색되었습니다.
3D 프린팅 기술이 미래를 이끌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다양한 재료 물질을 층층이 쌓아 올리는 방식인 3D 프린팅 기술은 컴퓨터로 3D 도면만
정교
하게 만들수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제품을 찍어낼 수 있기 때문. 실제로 3D프린터로 임플란트, 장기 등을 부작용 없는 생체물질로 만드는 연구도 활발하고, 이미 실용화한 곳도 있을 정도다. ... ...
中, 美·러시아 이어 세번째 달 착륙 성공 국가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것”이라 말했다. 최 실장은 “이번 달 탐사 성공으로 중국은 발사체 기술뿐 아니라
정교
한 우주기술까지 갖추게 됐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창어3호를 보조할 창어4호를 2015년에 발사하고, 2017년에는 창어5호를 보내 달에서 채취한 샘플을 지구로 가져올 계획이다. 한편 창어3호의 착륙이 ... ...
시간여행으로 바뀌는 미래 정말 행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죽기 때문에 지켜보는 관객은 무력감에 빠지게 된다. 충분히 탄탄하고
정교
한 시나리오가 이런 방향성 때문에 제대로 빛을 발하지 못하는 듯해 아쉽다. 그럼에도 ‘열한시’는 과학적으로 충분히 흥미롭다. 영화 속 비극은 모두 미래를 보았기에 시작됐다는 것인데, 현재의 인물들이 미래를 ... ...
'제3인류'처럼 휴대용 기기로 현장서 연대측정? 아직 불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속 이야기일 뿐 실제로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화석연대측정이 원소 단위의 무게를
정교
하게 비교하고 여러 시료를 써야 하는 복잡한 작업인 만큼 수많은 분석장비가 동원된다는 것.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항재 연구원은 "휴대용 연대측정기를 들고 다니면서 발굴한 화석 나이를 즉석에서 ... ...
혀놀림만으로 휠체어ㆍ컴퓨터 조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8
마비된 환자들은 지금까지 빨대가 장착된 휠체어로 들숨과 날숨을 조절해 움직였지만
정교
함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며 “사지 마비 장애우 11명을 포함한 23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기존 휠체어에 비해 같은 거리를 3배나 빨리 움직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 ...
발굴의 한 획을 그은 천마총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경주를 직접 둘러보고 신라 천년고도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신라고도는 웅대·찬란·
정교
·활달·진취·여유·우아·유현의 감이 살아날 수 있도록 개발할 것을 지시했다. 개발계획에 포함된 내용 가운데 신라 최고·최대의 무덤인 98호분(황남대총)을 발굴 조사하고 내부를 공개해 관광자원으로 ... ...
어린아이 크기의 금관
동아사이언스
l
2013.11.26
때 사용하고 장성해서는 다른 관을 사용했다는 추정도 가능하지만 신라의 금관처럼
정교
하고 호화로운 금관을 어린아이용 소위 장난감으로 만든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되는 일이다. 다른 이유로는 금관을 사용하던 왕이 어린 나이에 사망했을 경우를 추측할 수 있는데 5~6세기의 신라왕 ... ...
[단독] 3D 프린트 인공신체 국내 첫 이식
동아일보
l
2013.11.22
3D 프린트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국내 의학계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뼛조각 접합 같은
정교
한 수술을 하기 전 계획단계에서 시뮬레이션용으로 쓰는 정도다. 3D 프린트 인공기관을 인체에 넣어 성공적으로 자리 잡았다고 학계에 보고된 것은 단 한 차례다. 미국 미시간대 연구팀은 5월 선천성 호흡기 ... ...
언어와 음악능력 뛰어난 사람의 뇌 들여다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언어를 이해하고 음악을 무의미한 소리가 아닌 ‘음악’으로 인식하기 위해 복잡하고
정교
한 신경회로를 구축했다. 자토르 교수팀은 언어와 음악에 익숙해질 때 민감하게 반응하는 뇌구조의 비밀을 밝혀낼 것으로 기대된다 ... ...
누굴 닮아서 공부 못하냐구요? 곧 알려드립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부계 유전자를 구분하기 힘들었던 까닭은 그 둘이 너무 닮아있어 이를 구분할만큼
정교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렌 교수팀은 분자생물학과 컴퓨터기반 생물학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개선했다. 암이 발생하는 까닭은 모계와 부계로부터 받은 DNA 중 어느 한쪽에 생긴 문제가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