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민간 달여행자는 일본 사업가 마에자와 유사쿠” 일론 머스크 공개(1보)
동아사이언스
l
2018.09.18
머스크는 먼저 “스페이스X의 첫 우주궤도 비행은 2008년으로 이제 10주년을 맞는다”며 “
행성
간 여행을 담당할 새 로켓인 BFR을 소개한다”며 발표를 시작했다. 이어 10년 간의 회사 개발 역사와 최근 개발한 대형 로켓 팰컨 헤비와 BFR의 기술에 대한 소개를 이은 뒤 여행자를 발표했다. 2023년으로 ... ...
‘빛 지문’ 외계
행성
정체 밝힐까
과학동아
l
2018.09.12
많은 대기 때문에 얼음
행성
과 비슷한 색을 띤다”며 “이번 분석이 태양계 바깥 외계
행성
들을 분석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아스트로바이올로지’ 7월 31일자에 게시됐다. doi:10.1089/ast.2017.176 ... ...
글로벌 제약사 국내 벤처에 1년간 매달린 이유…“기초연구 성과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원시
행성
계 원반에서 유기분자를 관측하는 데 성공해 별과
행성
의 탄생 과정을 밝힐 새로운 화학적 단서를 제시했다. 이 교수는 “연구기획서 제안부터 논문 출판까지 5년의 시간이 걸렸다”며 “소규모의 일반연구자 지원사업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을 통해 받은 ... ...
하늘로 날아오르는 슈퍼 강아지
팝뉴스
l
2018.09.03
“이제 나는 가야 해요. 내
행성
이 나를 급히 필요로 해서요.” 자신의 고향
행성
에 급한 일이 생겨서 날아가기 직전에 촬영한 사진이라는 설명이다. 물론 농담이고 영화 슈퍼맨을 빗댄 것이지만, 이상하게 설득력있다. 해외 네티즌들은 사진 속 강아지가 정말로 하늘을 날아갈 것 ... ...
"목성은 수백만년 합체와 축적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수 백만년동안 세 단계를 거치면서 목성과 같은 거대
행성
이 성장했다"며 “다른 거대
행성
인 천왕성이나 해왕성에도 새 가설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행성
탄생의 순간 포착!
과학동아
l
2018.08.20
생생한 이미지를 포착했다. 안드레 뮐러 막스플랑크 천문학연구소 연구원은 “이 발견은
행성
형성의 이론적 모델을 시험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온라인판 7월 12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51/0004-6361/20183358 ... ...
태양풍 비밀 파헤친다…NASA, 11일 첫 태양 대기 탐사선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파헤칠 탐사선이 곧 우주로 떠난다. 지구, 화성 등 태양계
행성
들과 태양 간의 상호작용은 물론이고 별(항성)과 항성계에 관한 새로운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 케네디우주센터에서 ... ...
[별별 이야기] 여름 밤하늘엔 반달 모양 금성이 뜬다!
과학동아천문대
l
2018.08.09
이각이란
행성
이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를 뜻합니다. 즉, 가장 오래
행성
을 관측할 수 있는 때랍니다. 갈릴레오가 그린 금성의 모양 변화 - ircamera.as.arizona.edu제공 ... ...
소
행성
2개, 지구 스쳐지나간 뒤에야 확인
과학동아
l
2018.08.07
7월 7일과 8일, 이틀 간 버스 크기의 소
행성
2개가 지구를 스쳐지나갔다. 지구에 가장 근접했을 때 거리는 약 11만5000km로, 이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 올해 6월까지 400여 개나 될 정도로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하지만 이번처럼 두 소
행성
이 바짝 붙어서 지구를 지나가는 것은 이례적이다. ... ...
화성 이주 현실화하려면?...“화성에 온실가스 CO2 농도 높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7.31
높이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농도가 충분해야
행성
의 표면 온도가 높아져 사람이 사용할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콜로라도대 대기및우주물리실험실 브루스 야코스키 교수팀은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면, 화성 내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