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스페셜
"
성공
"(으)로 총 2,54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화성 우주선 스타십, 시험비행
성공
했지만 착륙 과정에서 폭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있는지에 따라 측정된다”며 “스페이스X가 스타십 개발을 빠르게 진행하면서 점점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SN8은 스페이스X가 제작한 8번째 시제품이다. 과거 시제품은 상단에 로켓의 맨 앞부분인 ‘노즈콘’이 없었으나 이번 시제품은 노즈콘과 착륙 동안 조향을 돕는 측면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이 가운데 X염색체의 염기서열을 끝에서 끝까지 결손 구간 없이 대부분 해독하는 데
성공
했다. 네이처 논문 캡쳐 1900년 극적으로 멘델의 유전법칙이 재발견되기는 했지만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아는 바가 없었다. 월터 서턴과 테오도르 보페리는 1903년 유전물질이 염색체 ... ...
[대학의 과거와 미래] 마지막 이야기··· 대학의 혁신에 앞서 생각할 문제들
2020.12.10
현실이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지 못한다면, 어떤 혁신 노력도 추진력을 갖기 어려우며
성공
을 담보하기 어렵다. 그래도 아직 희망은 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사회통합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교육기관은 신뢰도 평가에서 17개의 평가 대상 기관들 중 2016년에는 의료계와 공동 1위, 2017년에는 ... ...
새해 살빼고 싶다면 안먹기보단 먹기에 도전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들이거나 삶에 새로운 것을 도입하려는 결심이 무언가를 피하거나 그만두려는 결심보다
성공
적이었다”며 “기존 습관을 없애는 것은 쉽지 않지만 그 습관을 다른 것으로 대체한다면 좀 더 결심을 이루기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 ...
[소재의 미래]⑷ 韓, 1등으로 만든 그래핀 산화물 원천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좋아 200%까지 늘어난다. 최근 김 교수는 스스로 납작해지는 그래핀 섬유를 만드는 데
성공
해 ‘ACS 센트럴 사이언스’ 7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는 “납작한 그래핀 섬유는 납작한 면 방향으로 유연해 기존의 잘 부러지는 탄소섬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마스크 필터 소재로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방역 정책
2020.12.09
정치인과 관료들에 대한 국민적 피로가 누적되고 있다. 신기루와도 같은 ‘K-방역’의
성공
담에 취해버린 정부가 스스로 자초한 일이다. 3단계 거리두기를 시행하고 있던 지난 8월 말에는 경제에 대한 우려를 핑계로 어정쩡한 ‘2.5단계’를 시행했다. 거리두기를 5단계로 세분화한 후에도 사정은 ... ...
정부 "코로나19 백신 4400만명분 확보"…내년 1분기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백신 접종 과정에서 부작용 등
성공
불확실성이 여전히 있는 만큼 국민 건강과 안심을 위해 당초 정부에서 발표한 3000만명분보다 더 많은 백신을 선구매하기로 했다”며 “더욱 튼튼한 방역체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스페이스X 유인우주선·화물선,동시에 ISS 머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카고드래건2’가 8일 오전 3시 30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할 예정이다. 도킹에
성공
하면 스페이스X가 만든 우주선 2대가 ISS에 동시에 머물게 된다. 앞서 발사된 스페이스X의 유인우주선 ‘크루드래건’은 11월 17일부터 ISS에 정박 중이다. 스페이스X는 카고드래건2(CRS-21)를 7일 오전 1시 17분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막세포 노화 되돌려 생쥐 시력 돌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6
연구팀은 종양 발생을 막으면서도 야마나카 인자를 이용해 망막세포를 젊게 돌리는 데
성공
했다. 연구팀은 이 세 단백질을 아데노관련바이러스(AAV)를 매개체로 해 시신경이 손상된 실험쥐의 망막 신경세포에 전달했다. 단백질 유전자의 활성을 켜고 끌 수 있는 일종의 스위치도 만들었다. 연구팀이 ... ...
[영상+] 일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시료 호주 사막서 회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06
하야부사2는 2019년 2월 22일 류구 포면에 착륙한 후 같은 해 7월 11일 류구의 시료 채취에
성공
했다. 임무를 마친 하야부사2는 2019년 11월 13일 류구에서 지구를 향해 출발했고 6일 지구에 캡슐을 무사히 전달했다. 하야부사2는 지구에 귀환하지 않고 또다른 탄소질 소행성인 1998KY26 탐사를 위해 떠났다.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