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도양단
양단
d라이브러리
"
일도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비밀 밝히는 멋진 나눔터
과학동아
l
199512
'생명과학'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나우누리에 접속해 'go sstudy 6' 하라. 당신과 같은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이 환영인사를 보낼 것이다.생명과학은 생명체가 지닌 일반 법칙과 질서를 파악함으로써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흥미로운 탐구다. 바이러스에서부터 인간에 이르는 ... ...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
과학동아
l
199512
점점 열악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물자원을 이용, 학교의 생태지수를 높이는
일도
도시생태계를 건전하게 회복하는 한 방법이다.한편 구로구나 영등포구 공단지역과 청량리역 주변에서 개미자리를 관찰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신도시와 같은 환경을 갖추고 있는 강남 테헤란로에서도 이 ... ...
3.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과학동아
l
199512
세계가 저궤도위성에 눈을 돌리고 있다. 개발비가 적게 들고 상업성도 있기 때문이다. 다목적실용위성의 손익계산서를 그려보자.1970년대까지만 해도 '우주개발'이란 용어는 썼지만, '우주산업' 이란 용어는 거의 쓰지 않았다. 당시는 우주개발이 국가의 힘을 과시하거나 인간의지를 구현하기 위한 ... ...
냉동인간
과학동아
l
199512
진시황의 꿈이 실현되는 날은 올 것인가. 냉동인간이 되어 미래에 살고자 하는 희망을 수많은 SF영화들이 구현해내고 있다.묵직한 금속성 굉음을 내뿜으며 칠흑같은 어둠을 헤치고 지나가는 우주선.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공상과학 영화의 한 장면이다. 그러나 '심사숙고'해 보자. 소리는 매질의 ... ...
의학-죽음의 새로운 인식, 뇌사
과학동아
l
199512
이미 뇌사로 사망한 환자에게 인공호흡기 등을 다는 행위는 여러가지 면에서 불합리하다. 이는 '생명의 연장'이 아니라 단순한 '심폐기능의 연장'일 뿐이다.죽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다가오는 가장 중대하며 엄숙한 주제다. 죽음은 고래로 사회적 종교적 의식의 주축을 이루었으며, ... ...
박테리아가 오존층 파괴물질 없앤다
과학동아
l
199512
땅속의 박테리아가 오존층을 보호할지도 모른다. 박테리아가 오존층을 파괴한다고 알려진 메틸브롬 가스의 상당량을 없앤다는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 주장이 맞다면 앞으로 메틸브롬의 사용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에 제동이 걸릴 것이다.메틸브롬은 토양을 소독하고 해충을 죽이기 위해 ... ...
잠 꼭 자야만 하나
과학동아
l
199512
자도자도 부족한 잠. 자려해도 오지 않는 잠. 인생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잠은 그냥 버리는 시간일까.1. 잠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데…복잡하고 능동적인 메커니즘 몇십년 전에는 포유류의 생활이 두가지 상태로 돼 있다고 생각했다. 두 가지란 각성과 수면. 수면은 단순히 각성이 없는 수동적인 상 ... ...
장군석 발견으로 최연소 학술원상 받아
과학동아
l
199512
외길 인생이란 어휘는 왠지 외롭다는 느낌을 준다. 나같이 광물학 연구에만 몰두하면서 살이온 사람은 외길 인생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나는 외롭게 살아온 것 같지 않다. 사람에게 있어 가장 행복한 시간은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일에 몰두하면서 이해관계를 떠나 자기 자신을 잊어버릴 수 ... ...
큰틀 대표 이한순
과학동아
l
199512
이들에게 그가 건넨 말은 "미래를 대비하는 것 못지않게 현재를 탄탄하게 다지는
일도
중요하다. 시대를 제대로 읽자"였다. 컴퓨터를 제대로 쓰지 못하는 사람이 잘 쓰고 있는 사람보다 많은 현실에서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한 매체인 비디오는 그 간격을 메우는데 큰 힘을 발휘 할 수 있다는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12
과학실험위성은 우주개발 정찰대다. 위성을 시험하고, 다양한 관측과 실험을 통해 인간의 궁금중을 풀어주는 해결사이기도 하다. 우리별은 그동안 어떤 일을 했고, 앞으로 어떤 꿈을 실현해줄까.1992년 8월11일 우리별1호가 발사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위성 보유국 대열에 진입하게 됐다. 1989년 설립된 ... ...
이전
1127
1128
1129
1130
1131
1132
1133
1134
1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