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하우
비결
비법
노우하우
기술
d라이브러리
"
기술정보
"(으)로 총 3,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
과학동아
l
200810
지난해 우리나라 상품 수출액은 3720억 달러로 세계 11위, 상품수입액은 3570억 달러로 세계 13위를 기록했다. 이 많은 화물은 어디로 들어오고 나갈까.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전체 교역량의 98%가 항구로 드나든다. 대륙 사이에는 북한이 있어 육상 교통을 이용한 교역은 전무하고, 항공편은 무게 제 ... ...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발
과학동아
l
200810
간밤에 깎아지른 절벽에서 깊은 바닷물로 뛰어드는 꿈을 꾼 탓인지 몸이 찌뿌듯한 30대 회사원 김성희 씨. 화장실에서 소변을 보면서도 뭔가 개운치 않다. 양치질을 하며 거울을 보다 화들짝 놀란다. 거울 한쪽에서 빨간 불이 켜지며 ‘오전에 주치의를 만나라’는 낭랑한 기계음이 전해졌기 때문.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10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화학구조식과 밀도, 녹는점, 끓는점이 완벽하게 같지만 편광된 빛을 조사했을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물질을 광학이성질체라고 부른다. 19세기 말 프랑스 화학자 파스퇴르는 포도주에서 쓴맛을 내는 성분을 조사하다가 타르타르산 결정 중 ... ...
50 Years of NASA’s Achievement
과학동아
l
200810
1998년부터 ‘World View Pro’라는 인터넷 칼럼을 발간해 수많은 독자들에게 한국의 기존 언론이 다루지 않는 바깥 세계의 정보를 제공했다. 현재 인터넷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Like all historical events, the birth of NASA must be placed in the context of its tim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10
메디컬 평점 ★★★★★ 의학적 한계에 대한 물음멀더(데이비드 듀코브니 분)와 스컬리(질리언 앤더슨 분)는 초자연 현상을 해결하는 임무를 전담했던 전직 FBI 요원이다. 냉철한 판단력을 갖춘 스컬리와 뛰어난 직관력을 지닌 멀더는 오랫동안 파트너로 활약하며 미지의 사건을 해결했다. 하지만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10
1993년 양자 원격전송에 관한 개념을 처음으로 발명했다.그 순간을 기억하는가?나 혼자 발명한 것이 아니다. 사실은 동료 6명의 합작품이다.내 이름이 알파벳 순서에서 맨 앞에 있기 때문에 ‘득’을 많이 본다(웃음). 어쨌든 그 순간은 굉장히 재밌었다. 1992년 가을 윌리엄 우터스 박사(6명 중 한명이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10
“쇼팽을 좋아합니다. 작품마다 풍부한 감수성이 배어 있으니까요.”그랜드 피아노와 드럼이 있어 저녁 시간에는 연주도 감상할 수 있다는 대전의 한 레스토랑에서 만난 LG화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소재연구소 김지수 박사는 턱시도 차림으로 피아노 앞에 앉았다.익숙한 곡을 들려달라는 기자의 부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09
지구에서 가장 무서운 질병은 뭘까. 많은 사람들이 에이즈를 떠올리겠지만 사실 에이즈에 걸려 사망한 환자보다 슈퍼박테리아에 걸려 사망한 환자가 더 많다. 미국 국립질병통제예방센터가 지난해 10월 ‘미국의학협회’ 저널에 게재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2005년 한 해에만 메티실린 내성 포 ... ...
[고고학]‘직소퍼즐’ 풀듯 벽화 복원
과학동아
l
200809
수천 개로 조각나 형태를 알아볼 수 없는 고대벽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프린스턴대 데이비드 돕킨 교수팀은 지난 8월 15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컴퓨터 그래픽 분야 최고 학술대회인 ‘시그래프’에서 벽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복원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09
“이런 햇살이 다 에너지 아닙니까? 이번에 개발한 나노구조물이 효율적인 태양전지를 만드는데 초석이 되길 바랍니다.” 지난 7월 28일 포항의 날씨는 그야말로 찜통더위.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 연구단을 찾아 포스텍 캠퍼스를 가로질러 오느라 헉헉거리는 기자에게 시원한 음료를 내밀면서 김진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