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획"(으)로 총 1,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2015 조직위원장경북대 생물교육과 교수미래창조과학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기획평가위원Q. 다른 올림피아드에 비해 학생들이나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는 않은 대회인 것 같다대회 역사가 상대적으로 길지 않다. 하지만 다른 국제올림피아드와 마찬가지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대표단 선발과 참가 ...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숲속 곳곳에 다양한 전시물들이 숨어 있어요. 이곳의 모든 전시물들은 어메이징파크를 기획한 장상빈 관장님의 아이디어로 만들어졌답니다.뚝딱뚝딱~, 기계를 보고 만지고 느껴라!야외 체험을 마치고 실내 전시관으로 들어서자, 속이 훤히 보이는 전시물들이 기자단을 맞이했어요. 총 3층으로 ... ...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비슷한지도 보여 줘 작가가 독창적으로 글을 쓰도록 자극하기도 한다. 결국 시나리오 기획안을 컴퓨터가 대신 써주는 셈이다.류철균 이화여대 디지털스토리텔링 연구소 소장은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많은 작가가 스토리헬퍼를 이용하고 있다”며, “작가는 보통 원고의 10배 정도나 되는 초고를 ...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보도했다. 인류학 역사에서도 몇 번 안 되는 큰 발굴이었고, 내용도 충격적이었다(70쪽 기획 참조. 이 발굴 내용은 이후 연구에 따라 차차 재평가될 것이다). 때맞춰 한국을 방문한 저자(이상희 미국 UC리버사이드 인류학과 교수)는 이 새로운 화석 ‘호모 날레디’에 대한 해설을 위해 언론 인터뷰에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말했다.더군다나 문인은 호조를 이끄는 호조판서가 될 수도 있다. 오늘날의 기획재정부 장관과 비슷한 위치다. 김 교수는 “지금은 과학을 잘 몰라도 과학관련부서의 장관을 맡을 수 있지만, 조선시대엔 그렇지 않았다”며 “호조를 이끌기 위해선 아래 관원들보다 산학을 잘해야 한다는 사상이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게임카페 2기 친구들은 아무 것도 없는 백지를 앞에 놓고 만들고 싶은 게임을 기획했습니다.게임을 만들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은 뭐가 있을까요? 게임을 할 때처럼 규칙만 알면 게임을 만들 수 있을까요? 게임규칙 외에도 필요한 요소가 많습니다. 가장 먼저 게임의 이름이 필요하겠죠. 게임 이름은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라파엘로 교수는 아티스트 그룹 버라이어티 판당고스튜디오와 함께 ‘불꽃’ 공연을 기획했습니다. 드론에 예쁜 옷을 입히고 불빛을 내도록 했죠. 거실을 고요하게 밝히던 전등이 집밖으로 뛰쳐 나와 신이 난 듯 하늘을 날며 춤을 추는 모습처럼 보입니다. 동화 속에서나 일어나는 마법과 같은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생길 여지가 훨씬 적다. 이런 문화를 제도화시켜 강제하는 게 저자 사전 등록제다. 연구기획단계에서 저자의 순서와 역할을 국가기관에 등록한다.정부기관에 저자등록을 하면 공식적인 기록이 남는다. 논문출판 단계에서 엉뚱한 사람을 저자로 끼워 넣으려고 해도 일일이 사유를 적어야 해 쉽지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의 원본을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지만 쉽지 않았다. 그러다 마침 2015년 KBS에서 기획한 광복 70년 특집 다큐멘터리 ‘이상설, 불꽃의 시간’ 제작에 참여하면서 수리의 원본을 찾는 일에 불이 붙기 시작했다. KBS 관계자 및 대학생 자원봉사자가 수당기념관의 모든 사료를 뒤지는 사투를 벌였고,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대학생, SW 개발자등 총 86개 팀의 참가자 465명은 40여 시간 동안 쉬지 않고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SW를 만들어 발표했다.사회문제 해결 부문에서 대상으로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을 수상한 ‘페이보리’ 팀은 20대의 부산대 선후배 4명으로 이뤄져 있다. 그들은 편의점에서 남는 음식을 나눌 수 있는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