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미지의 세계에서 영감을 얻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알게 됐으면 좋겠다. 환경 보전은 먼저 자연에 아름다운 장소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상어 보전 이후로 하고 싶은 탐험은?아마존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페루의 운무림에서 몇 년 더 보내고 싶다. 한국 독자에게 한마디과학 잡지를 읽고 있다는 것부터 이미 나와 많은 ...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천왕성 탐사는 태양계 내의 거대얼음행성뿐 아니라, 태양계 밖 더 넓은 우주를 이해하는 데 도움될 것이다.이번 ‘행성과학 10년 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2031년에서 2032년 무렵에 탐사선을 발사할 경우 목성 중력의 도움을 받아 효율적으로 천왕성에 가 닿을 수 있다. 예상되는 항해 소요 시간은 1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그는 죽은 뒤에도 일하겠다는 게 아니다. 인간의 죽음은 그것으로 끝이다. 그리고 그의 데이터와 시냅스로, 이 모든 일을 계속해 나가는 것은 나의 몫이 됐다. 『박씨전』이라는 소설이 있었다. 조선시대의 어느 전쟁을 배경으로 했다는 그 소설의 주인공 박씨는, 무시무시한 얼굴로 사람들의 ... ...
- [시사과학] 항생제 중독에 빠진 강 제 2의 팬데믹 일으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조사된 61가지 약품과 258개 강 이외에도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며, 코로나19 이후 제 2의 팬데믹을 막기 위해선 의약품 관리에 꾸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안녕! 이제 봄이 성큼 다가왔어! 이럴 땐 따뜻한 햇살 아래 야외 빨래를 해줘야 하는 거 아니겠어?! 그런데 저 셔츠…, 뭔가 아련해 보이는 건 기분 탓? ... 이런 성질은 강해져요. 모세관 현상은 식물이 광합성에 사용할 물을 뿌리에서 빨아들여 잎까지 보내는 데에도 사용된답니다 ... ...
- [인터뷰] 이산수학 난제 해결한 수학 교사 출신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쓴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면 ‘칸-칼라이 추측이 풀리지 않을까?’ 하고 이야기를 나눴는데 진짜 풀렸어요. 보통 수학자는 한 문제를 풀 때 몇 년에 걸쳐 생각하고, 셀 수 없이 많은 논문을 보고, 강의도 들어요. 동료들과 토론해서 한 아이디어를 시도하고, 안 되면 다른 아이디어를 계속 시도하죠 ...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말했습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정수론과 표현론 등 수학의 여러 분야를 잇는 작업인데, 그 작업에 치머만 교수가 도움을 준 셈이지요.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앙드레 오르트 추측은 정수론에서 굉장히 역사가 깊은 문제”라며, “이런 문제를 푼 것도 의미 있지만, 문제를 해결한 ... ...
- [특집] 프로게이머가 꿈입니다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프로게이머가 되고 싶다는 말은 대부분의 경우 잔소리를 막기 어렵다. 매해 초등학생들의 장래희망 조사에서 TOP10에 들만큼 흔한 방법이라는 게 첫 번째 이유. 프 ... 팀들은 데이터 전 담팀을 꾸리는 추세예요. 통계나 수학, 컴퓨터과학 분야에 관심 이 있다면 데이터 분석가를 추천합니다 ... ...
- [EVENT] LoL로 데이터 분석할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골드 티어로 넘어가 본격적으로 파이썬을 배워봅시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롤 실력과 데이터 분석 실력을 동시에 길러 보세요! 참여방법 1. 신청기간: 6월 6일(월)까지 ※ 6월 7일 네이버밴드 ‘롤코딩 브론즈’로 초대해 드립니다.2. 신청 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eGTUTjM5cY_ ...
- 점술에도 미래가 있을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식이다.미국의 한 기업이 만든 점성술 기반의 소셜미디어(SNS) 서비스는 NASA의 관측 데이터로 점을 친다.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사는 지역, 천체의 움직임 등을 분석해 그에 맞는 문구를 보여준다. 이 서비스가 성공을 거뒀다는 건 많은 사용자가 그런 문구에 깊은 인상을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