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투명하게 만들어서 신경섬유를 확인하는 데 성공해 ‘네이처’ 5월 16일자 표지를 장식했다. 두피에 가까운 대뇌피질부터 안쪽에 깊이 숨어 있는 시상까지 한 번에 볼 수 있다.방법은 이렇다. 보고 싶은 신경 세포의 단백질은 남기고, 불투명한 지방만 빼내는 원리다.먼저 저온(4℃)에서 투명한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실점이 어떻게 변하는지 변화시켜 가며 회귀분석★을 한 결과 만들어졌다. 처음 이 식이 만들어졌을 때에는 n=2였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미국 메이저리그의 경우 n=1.83,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n=1.87일 때 더 나은 예측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회귀분석★ 둘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 ...
-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물질과 만나면 빛을 내는 광학염료를 넣어 발생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식이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더 민감한 센서를 만들 수 있을까. 나노구조 설계가 그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정한 부피에 나노미터 수준으로 만든 아주 작은 센서들을 밀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전까지는 검출할 수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개미 무시했다가는 큰코다치게 생겼다. 얼마 전, 개미가 먹이를 찾아 움직일 때 페르마의 원리를 따른다는 연구가 나왔다.페르마의 원리란 빛이 두 지점 ... 최적화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드는 데 쓰이고 있다. 어쩌면 우리 사회가 돌아가는 방식은 앞으로 점점 개미를 닮아갈지도 모른다 ... ...
- 두 얼굴의 글자를 해독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6969+111) =(111+6969+609)-66×86❶, ❷는 각각 모두 180도 회전해도 본래의 식과 같은 앰비그램 수식이다.종류도 모양도 가지각색 앰비그램! 용의자 중 범인을 찾아라!랭던을 죽인 범인은 분명 두 얼굴의 글자인 앰비그램과 어떤 관련이 있을 거야. 그런데 그게 뭘까…. 아, 맞다! ‘여보게 저기 저게 ... ...
- 병먹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비판하면 “너희들이 무식해서 내 말 뜻을 못 알아듣는 거야. 공부 좀 더 하고 와”라는 식의 글을 또 올리는 경우죠. 이 글을 본 다수의 사람들이 글 올린 이를 ‘병*’으로 규정하고 ‘병먹금’이라는 용어를 들먹이며 무대응으로 일관하게 됩니다.인터넷 오픈사전에도 올라와 있는 ... ...
- 하우스는 정말 명의일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환경, 스트레스에 좌우받을 겁니다. 건강식품이나 한약이 주는 영향은 1%나 될까요? 건강식품을 골라 먹는 것보다는 그 돈으로 동네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동을 하거나 아니면 잠을 자는 게 확률적으로 제게 좋을 겁니다.의사 역시 환자를 기본비율 중심으로 봅니다. 머리가 아프다고 병원에 오면 ...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색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굴절 각도를 계산하기 위해, 스넬과 거의 비슷한 방법으로 식을 세웠습니다. 굴절 각도를 x라 하고 무지개와 관찰자 사이의 거리, 해당 빛깔의 무지개가 떠 있는 높이 등을 측정해 삼각함수를 이용해 계산해 보았어요.그 결과 빨간색 빛은 늘 약 42°, 보라색 빛은 약 40°로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세 수를 모두 더한 값이 서로 같아야 하므로, A+B+C=D+E+F=G+H+I이다(식➋). 그런 다음, 식➊에 식➋를 대입하면 (A+B+C)+(A+B+C)+(A+B+C)=45이다. 즉, A+B+C=15이다. 같은 방법을 세로줄과 대각선에도 적용하면 A+D+G=B+E+H=C+F+I=15이다. 이제 가운데 E를 포함한 가로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상대적으로 큰 두뇌(1000cc)를 가진 대신 이빨이 작고 씹는 근육 역시 작았습니다. 식습관과 두뇌 크기 사이에 놀라울 정도로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인류의 두뇌는 거꾸로 진화하나유지비가 많이 드는 두뇌를 위해 인류는 사냥과 채집을 해야 했습니다. 움직이는 동물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주변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