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일하는 개발자들은 대부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나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 전문가 중에는 통계학 전공자가 많고, 사용자경험(UX)을 분석하는 전문가 중에는 심리학과 인지심리학을 전공한 사람도 있다.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전공이 다양하다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리고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배아 발달을 끝낸 개체의 조직과 기관에 세포분열을 하지 않거나 유난히 느리게 하는 세포가 있고, 그들이 성체줄기세포라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성체줄기세포 중 일부가 쿨쿨 ‘잠을 자는(quiescent)’ 셈입니다. 두 가지 성체줄기세포 필요한 이유한편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이때 보호자가 외출하고 돌아오면 장난감은 개가 접근하지 못하는 곳에 치워놓는것이 좋지요. 이러한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다보면 개는 언젠가는 보호자가 반드시 돌아온다는 인식을 갖게 되고, 보호자의 외출이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 상황이 아님을 자연스럽게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태계로 치면 쥐나 바퀴벌레 같은 것들만 남은 것”이라며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여야 하지만, 그에 앞서 중간 어종을 마구잡이로 잡아들이는 남획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어요. *개념 퀴즈 : 생물종이 적을 때보다 많을 때 생태계가 더 잘 유지된다. (O , X) [스토리] 아일랜드 대기근을 보고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유클리드 공간에 있는 도형의 특이점을 수술하려면 브렌들 교수가 만든 방법을 써야 하지요. 브렌들 교수는 페렐만 교수의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2013년 어떤 공간에 있는 도형을 평균 곡률 흐름을 이용해 축소할 때 쓸 수 있는 특이점 수술법을 고안했습니다. 평균 곡률 흐름이란 평균 곡률에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분위기도 팽배했다. 그러나 수학의 완전성이 깨졌다고 해도 수학이 무너졌다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수학계에는 아직도 발견하고 증명해야 할 수학 원리가 무수히 많다. 물론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는 또 다른 힐베르트의 문제를 해결했다면 언제든 힐베르트를 불러내라. ▼관련기사를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다양성에서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라며 “현재 진행 중인 양서류 무역을 중단하지 않으면 양서류의 생물다양성을 위험에 처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항아리곰팡이 면역 수용체 찾아내이번 연구에는 브루스 월드만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해 항아리곰팡이가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칫 ‘돌싱’이 될 위험을 안고 사느니, 좋은 결혼 상대가 나타나지 않는 한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생각하는 여성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간한 자료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한 13세 이상 여성의 비율은 2010년 59.1%에서 2016년 47.5%로 감소했다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산업이 불황이라는 점 때문에 조선해양공학으로 진학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조선 산업의 불황은 장기적인 것이 아니며 역사적으로 일정 기간을 두고 반복돼 왔다. 김학과장은 “최근에는 각종 지표가 조선 산업의 재도약을 알리고 있다”고 말했다.김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다양한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봉사활동을 배치하기 때문에 무리해서 교외 봉사활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 [표5]에서 사례 3, 4의 두 학생은 각각 지역 아동과 또래, 새터민 교육봉사를 3년간 꾸준히 진행했다. 모두 재능나눔 형태의 교내 봉사활동으로, 학교에서 환경을 만들어 준 덕분에 3년간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