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919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코리포트]아마존이 활활 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0.26
비영리 단체인 ‘레인포레스트 커넥션’은 배터리와 중고 스마트폰, 녹음기와 태양
전지
판으로 이루어진 ‘가디언’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열대우림에서 나는 소리를 감시한다. 중고 스마트폰이 녹음기에서 녹음된 소리를 서버에 전송하면 이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어떤 소리인지 구분해내는 ... ...
알록달록 1680만 색상 구현하는 태양
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안정성은 더욱 높아졌다. 장성연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풀컬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는 매우 선명한 색상을 구현하면서도 에너지 생산 효율과 안정성이 높다"며 "건축물 외벽에 적용하면 아름다움을 살리면서도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 ... ...
수소전기차용 연료
전지
핵심소재 효율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기존보다 63% 더 낮았다. 디억 연구원은 “고온용 고분자 전해질막은 수소전기차용 연료
전지
의 핵심소재이지만 기술적인 장벽이 높아 현재는 소수의 국가만 생산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전해질막의 국산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멤브레인 ... ...
인공광합성, 효율 높일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전기에너지로 바꾼 후 전기화학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환원시키는 방법과, 광전기화학
전지
를 이용해 직접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둘 중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은 전자의 에너지가 과도하게 높아지면서 물을 수소로 만드는 수소 생성 반응이 함께 일어났다. 하지만 빛 에너지를 ... ...
한전, 페로브스카이트 평판형 태양
전지
개발…"세계 최고 효율"
연합뉴스
l
2019.10.21
가능해 앞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도 부착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상용화를 위해 효율 향상에 더욱 매진하면서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
한국 빛낸 산업기술에 접는 디스플레이·200년 버티는 콘크리트 등 15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건설과 소재, 기계 분야도 트렌드의 변화가 보인다. 2017년에는 LG화학의 초소형 원통형
전지
기술과 두산중공업의 육해상 풍력발전기, SK건설의 유라시아 해저터널 등 완제품 기술이나 건설 사업 자체가 선정됐다. 하지만 올해는 투명폴리이미드와 수소전기차용 스테인리스강, 굴착기와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방전이 계속되면 리튬이온이 뾰족한 모양의 금속이온으로 변환되며 분리막을 찢고
전지
를 망가뜨려 상용화가 어려웠다. 이 교수는 “이후 요시노 아키라 일본 아사히가세이 명예연구원이 음극 활물질을 흑연 계열로 바꿔 리튬 배터리에서 리튬을 사실상 제거했다”며 “리튬은 이온으로만 존재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세상에 등장시킨 老화학자들
2019.10.10
라는 문구를 보면 이 세분이 수상하시는 것에 이의가 없을 거라고 생각된다. “리튬 이온
전지
뿐 아니라 그 발전을 위해서” 노력한 연구자들의 수고에 깊은 감사와 축하를 드리는 바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 ...
노벨화학상 수상자 배출한 일본 화학회사 아사히가세이는 어떤 곳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일본과 중국에게 밀리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후발주자로 뛰어들었지만 리튬이차
전지
를 직접 제조하는 회사인 만큼 공격적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이에 아사히가세이와 SK이노베이션은 분리막 시장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일본화학공업일보에 따르면 아사히가세이는 올해 중 ... ...
노벨화학상, 충전의 세상 연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자 3명 수상(종합)
2019.10.09
배터리는 이 2가지 측면에서 굉장히 큰 장점을 갖고 있다”며 “이보다 더 좋은 2차
전지
를 현재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노벨 화학상 수상자 중 한명인 존 구디너프 교수는 역대 최고령 수상자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이와 함께 일본은 노벨 과학상 분야에서 24번째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