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졸업"(으)로 총 1,9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말N수학]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2018.12.15
- 엄상일 기초과학연구원 이산수학그룹 CI &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 ...
- 원자력안전위원장에 엄재식 원안위 사무처장동아사이언스 l2018.12.14
- 대행 업무를 맡아왔다. 충북 충주 출신인 엄 신임 위원장은 서울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했다. 1996년 행정고시 39회에 합격해 공직을 시작했으며, 2002년 영국 서섹스대에서 과학기술정책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7년 과학기술부 기초연구국 핵융합지원과장,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 ...
- 뇌연구원장에 서판길 UNIST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8.12.11
- UNIST) 생명과학부 교수가 11일 선임됐다. 서 신임 원장은 서울대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의대 대학원에서 석, 박사를 받았다. 포스텍 생명과학부 교수와 산학협력단장을 거쳐 2010년부터 UNIST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국가석학’으로 선정됐으며, 현재 ...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2018.12.08
- 월호, 2018 노벨상 ※ 필자소개 정상택 국민대 응용화학과 교수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화학공학 석사 학위를,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에서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공대 박사후과정을 지냈으며 현재 국민대 응용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
- "SF를 키우는 힘은 다양성"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한국계 작가들동아사이언스 l2018.12.06
- 진로를 바꾸기로 하고, UCLA에서 창작을 공부하며 드라마 작가의 꿈을 키웠다. 하지만 졸업 뒤에는 3년간 한국에 머물며 국립극장의 창극 번역 등을 하며 때를 기다려야 했다. 하지만 불현듯 “내 이야기, 내 목소리를 내고 싶다”는 생각에 다시 미국에 건너가 본격적인 작가 수업에 들어갔다. ... ...
- 전국진 서울대 교수, IEEE 부회장 선출동아사이언스 l2018.12.04
- 2021년에는 ‘직전 부회장’ 직함으로 활동하게 된다. 전 교수는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건대에서 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 서울대 교수로 부임해 전기·컴퓨터공학부장, 반도체공동연구소장, 반도체영문지(JSTS) 편집위원장, 대한전자공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4세대 ... ...
- 김선화 순천향대 교수, KAIST 상임감사 선임동아사이언스 l2018.12.02
- 최종 임명됐다. 임기는 이달 3일부터 3년이다. 김 신임감사는 충남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금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포항제철기술연구소, 한국기계연구원, 미국 조지아공대 등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을 ... ...
- IBS, 30~40대 연구자 주도 본원연구단 2개 신설 동아사이언스 l2018.12.02
- 교수(40), 차미영 KAIST 전산학과 부교수(39·여)가 맡았다. 세 사람은 모두 KAIST를 졸업했고, 김 교수와 차 교수는 석사와 박사도 모두 KAIST에서 받고 모교에 재직하고 있다. IBS는 기초과학 분야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젊은 연구자들이 주축인 ‘파이오니어 ... ...
- “글로벌 바이오시장 年18%씩 성장… 한국, 더 뛰어야”동아사이언스 l2018.11.29
- 모바일헬스케어 기술사업화지원단’ 취업을 현장에서 승낙 받았다. 형 씨는 “졸업 후 의료기기 인허가 관련 업무를 하고 싶었는데 행사장에서 면담한 결과 취업을 확약받게 됐다”고 밝혔다. 지원단의 김재선 연구교수는 “8명 정도를 이 자리에서 면접했는데 형 씨의 경우 관련 분야 자격증을 ... ...
- [이강운의 곤충記]미세먼지 없는 호주 곤충들은 자신이 행복한 줄 알까? 2018.11.29
- 근거로 이름 붙임.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