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목
강좌
교과안
교과목
내용교과
내용
d라이브러리
"
교과
"(으)로 총 1,18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11
행해진 '발견'에 의미를 두기 때문에 주기율표를 발견한 멘델레프는 이미 중고등학교
교과
서에도 나오는 너무 오래된 발견이란 이유로 노벨상 수상 대상에서 빠지게 되었다. 그리고 수상 당시 살아 있는 사람들에게만 수여하다보니 DNA가 유전에 관계되는 물질이라는 사실을 밝힌 에이버리(1877~1955)는 ... ...
지구과학 박물관과 과학관을 최대한 활용
과학동아
l
198710
년대 후반에 다소 퇴조하는 듯하였으나 80년대 중반부터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즉, 모든
교과
서 또는 교재가 인류의 생활과 보다 더 밀접한 내용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중학교 실험실 자체는 고등학교에 비하여 빈약한 편이었으나 중고등학교의 교사들은 한결같이 자기 교실을 ... ...
컴퓨터교육 89년부터
교과
과정에 컴퓨터 문맹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10
교육세를 과감히 활용해 투자해야 할 듯 하다.40대 수습우리나라 성인들 대부분은 정규학
교과
정에서 컴퓨터를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다. 회사를 전선화하자는 직원들의 요구를 받은 중소기업 경영자, 개인병원을 낸 의사, 고객관리를 합리화하려는 약사 등 개인업무에 컴퓨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많은 ... ...
두뇌산업에 가해지는 과학의 메스「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10
핵심이 아닐 수 없다.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요구됨은 역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관리란
교과
서식으로 다루어 질 수 없으며 프로젝트 성격 및 참여 인력에 대한 이해와 기술과 지식을 고도로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또다시 소프트웨어의 성공적인 개발의 어려움을 제시한다. 또한 바로 이 이유가 ... ...
생물 현장에서 익히는 생태계 학습
과학동아
l
198710
'과학다운 과학'을 가르칠 수가 있는 것이다. 야외 생물수업의 몆가지 사례들우리의 고
교과
학수업은 늘 입학시험을 위한 공부에 치중하는 게 현실이다. 시험에 나오는 방식대로, 시험에 나오는 내용만을 깡그리 외워가면서 과학 공부를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과학다운 과학수업을 하기 위하여 ... ...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09
지식도 적잖게 얻은 것 같아요. 그 좋은 예가 식물조사방법으로 군집조사단원이
교과
서에 나오는데, 실제로는 너댓가지의 조사방법을 현장에서 실시할 줄을 모르는 게 보통입니다. 그런데 한라산에서 김교수 지도로 식생을 조사하면서 식생조사표를 작성해본게 여간 산경험이 된 것이 아닙니다 ... ...
PART 3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경우
과학동아
l
198709
탈피해가는 것이다.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우간다 최대의 부족 '간다'족은 성교육의
교과
서나 부교재대신 어른의 성행위 장면을 어린이에게 보여 그것으로 교육한다는 것이다.할례가 끝나면 젊은이들은 한사람몫의 어른으로 인정 받아 섹스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섹스와 문화수준 왜 ... ...
다양한 언어의 습득
과학동아
l
198709
힘든 시기였다. 그때 처음 내손으로 만져본 애플 컴퓨터는 나를 매료시키기 충분하였고
교과
서에서 배우던 컴퓨터에 대한 이해를 새로이 가지게 되었다.본격적으로 컴퓨터를 다루게 된 것은 대학입학후 컴퓨터써클에 가입하고 난 후였다.전공이 컴퓨터와 무관하지는 않지만 컴퓨터에 대한 호기심과 ... ...
PART 2 유럽에서 불어온 바람
과학동아
l
198709
어떠할까.선진제국은 북구의 영향을 받아 거의 같은 수준에 있다. 영국은 미국과 같은
교과
서를 사용하며 역시 남녀의 섹스신을 보여주면서 사실을 사실로서 전하려고 노력하고있다. 서독은 10여년전까지만해도 성 의식면에서 극히 보수적이었으나 지금은 완전히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있다. 북구의 ... ...
농경생활의 채택은 인류의 최대실수?
과학동아
l
198708
옮겨진 것에 대해 '문화의 진보'라는 평가는 보편적인것이었다. 세계 어느나라의
교과
서에서도 농경생활로 인류의 생활상태는 좋아졌다고 기술하고 있다. 물론 식물재배와 가축사육으로 식량이 늘어난 것은 틀림없는 사실. 그러나 이와 함께 농업사회에서는 계속 인구가 늘어나 결론적으로 '농경의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