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관"(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서베이(SDSS)’를 통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항공우주국(ESA)를 비롯한 여러 국가와 기관, 개인이 협력한 결과다.우리나라 고등과학원의 천체물리 그룹도 우주 거대구조를 시뮬레이션했다. 물리학 법칙을 적용해 수천 억 개의 입자를 시간에 따라 진화시킨 것이다. 그 결과, 여러 은하가 가는 선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밝혀낼 겁니다. 대표적으로 뇌와 신경세포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라면서 신체 기관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그리고 생태계는 어떻게 유지되는지의 3가지를 들수 있습니다. 생명을 이해하고 질병 문제를 해결하거나 멸종위기에 놓인 생명체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그렇다면, 수학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나왔다. 현존하는 전체 데이터의 90%가 지난 몇 년간 만들어졌다는 통계도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디지털 자료 양은 2009년 기준 0.8제타바이트(ZB, 테라바이트의 10억 배)에서 2020년 35.2ZB로 4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확산은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복합적으로 추론해 답을 내는 질의응답 기술도 검증을 완료했다. 관련 소프트웨어를 14개 기관에 배포했다. 의학 지식을 갖춘 ‘닥터 엑소브레인’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나누리병원에서 내년부터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닥터 엑소브레인은 한 달에 5시간밖에 공부할 시간이 없는 의사들을 위해 최신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비말도 존재한다는 점이다. 바로 ‘에어로졸(aerosol)’이다. 에어로졸은 병원 내에서 인공기관지 삽관 등 시술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데, 입자가 작고 가벼워 공기 중에 떠다닐 수 있다. 하지만 에어로졸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에어로졸로 감염되기란 쉽지 않다. 크기가 작은 만큼 그 안에 포함된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함께 인공지능을 선정했다. 올해 12월 결과를 발표한다. 미래부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에 결과를 통보해 해당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기획에 반영케 하거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대책을 세우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이상욱 교수는 “인공지능의 행동 패턴 수만 가지를 미리 다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발간된 네팔 지질학회지에는 카트만두에서 큰 지진이 발생할 것이라는 프랑스원자력연구기관 (CEA) 로랑 볼랭저 연구원팀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연구팀은 지난 3월 네팔에서 현장조사한 결과를 이 용해 이번에 지진이 일어난 곳과 정확히 일치하는 곳 에서 지진이 발생할 것임을 예견했다.연구팀은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나 26/28, 26/29, 26/30, 26/31과 같은 분수지요. 프랑스가 베트남 사이공에 세운 인문과학연구기관인 극동학원에서 이 숫자를 바탕으로 보수를 진행하던 중 내전이 일어났는데, 공사를 중단한 사이 건물 일부가 무너져 버렸다고 합니다. 애써 맞춰놓은 퍼즐이 다시 흩어진 것이지요. 다행히 지금은 원래 ...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비롯한 행성이 태양 주변을 도는 그림과 식물을 특징에 따라 분류해 놓은 그림, 인체 기관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그림이 잔뜩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지구를 정복하기 위해 찾아온 외계인들이 지구를 몰래 조사해 기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탄소-14로 알아낸 책 나이는 약 60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35곳, 기상청은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을 위한 지진관측소 127곳을 운영하고 있다. 양 기관의 지진 자료는 국가망을 통해 실시간 공유된다.국가지진정보센터에서는 이 공유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진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진앙의 위치, 규모 등을 분석한다. 역시 P파와 S파의 속도차를 이용하는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