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라리아의 게놈 청사진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보이는 작은별자리 약자는 Gru 남쪽물고기 자리(Piscis Austrinus)의 1등성 포말하우트보다
밑
에 위치한다두 가지 성분으로 된 용액의 증기압을 각 성분의 분압(分壓)과 조성의 관계로 표시한 식 물체의 가속도가 일정한 운동 가속도가 일정해도 운동이 일직선 위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등의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한 후 스트라스부르 대학 해부학 교실에 들어가 G 슈발베 교수
밑
에서 혈액학(血液學)을 연구했다1921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해부학 교수가 된 무렵부터 인류의 진화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에링크스도르프 출토 두개화석의 연구를 담당했다28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 ...
1. 21세기 그린변혁 꿈꾸는 개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적조의 원인인 독성 플랑크톤 코클로디니움의 세포에 붙어 세포막을 파괴하고 바다
밑
으로 가라앉게 한다. 그러나 황토는 단기 처방에는 효율이 높지만 궁극적으로 바다를 오염시키고 적조 발생률을 높이다는 지적이 제기됐다.소각재로 만든 새로운 적조 제거제는 ‘제오플럭’. 사업단의 ... ...
1. 과학영재학교 첫 선발 총정리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떨어지는 현상도 사고실험을 한다.학생은 사고실험을 바탕으로 산업화된 도시의 지면
밑
에 강으로부터 유인되는 찬물 수로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찬물 수로가 지표의 온도를 낮춰 도시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수로를 지면으로 간간이 드러나게 해서 수증기를 ... ...
영어발음 미국인처럼 할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올린 채 내는 소리이다. 이 방법을 따른다면 누구나 영어의 [r]과 [l]을 발음할 수 있다. 혀
밑
수술의 목적은 이 두소리를 잘내기 위해서다. 하지만 혀끝을 위로 약간 올릴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발음을 할 수 있다.사실 우리말의 발음을 정상적으로 하는 사람이라면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누구나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1930년에 남부 독일의 오베르귄츠부르크에서 귄츠-I의 융빙유수(融氷流水) 퇴적물
밑
에 있는 빙퇴석(氷堆石)을 융빙퇴적물에 대비했으며 나중에 H그라울과 I 셰퍼도 융빙유수 퇴적물의 단구(段丘) · 층위(層位) · 암상(岩相)에 의해 도나우빙기를 확인했다 1858년 6월 2일에 도나티(Donati)가 발견한 혜성 ... ...
알래스카 빙하 두께 연간 50cm 이상 감소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급속하게 발달하여 현재는 전세계의 지도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위에서
밑
으로 향하는 대기중의 전기장 공중 전기장이 있기 때문에 공지전류(空地電流)가 생기게 된다 공중전기장의 크기는 기후에 좌우되며 뇌운(雷雲)이 접근했을 때는 커지고 경우에 따라 전기장의 방향이 ... ...
서해교전 침몰고속정 떠오르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후 옆에 대기하고 있던 잠수형 바지선에 부력을 제거하고 잠수시켜 수중 인양선체
밑
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잠수형 바지선에 다시 부력을 주입시켜 잠수형 바지선의 자체부력에 의해 선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방법이다.이때 사용되는 잠수형 바지선은 침몰 고속정의 중량과 크기를 감당할 수 있는 ... ...
버팀목 줄기 감아 고사시키기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못하고 기어다니기 전문인 ‘뼈대 없는 집안’의 자손이다. 숲 속의 커다란 나무
밑
에서 아무리 이리저리 기어 다녀도 햇살의 은총을 입을 기회가 없다. 이웃의 도움을 받아야만 살 수 있는 운명이다. 인심 좋은 이웃 나무들은 곧게 일어서지도 못하는 그를 불쌍하게 여겨, 감고 위로 올라가도록 자기 ... ...
3. 물과 생명체 두마리 토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화성 생명체는 지구 생명체와 여러모로 다를지 모른다. 지구의 경우에도 깊은 바다
밑
에서 햇빛도 없이 화학에너지와 지열을 에너지원으로 살아가는 생물이 있다. 과학자들은 화성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만날 것에 대비해 생명체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중이다. 현미경 수준에서 고해상도로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