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그 근거다. 이상희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 교수는 “데니소바인이 새로운 종인지에 대한 판단은 보류된 상태”라며 “20세기였다면 호모 속의 종으로 분류됐겠지만 지금은 이들이 실체를 가진 집단인지 화두가 전면에 나오지 않고 있다. 일단 두고 보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있는 학술지인 수학 연보(The Annals of Mathematics)에도 논문 두 편을 발표했습니다.1960년엔 새로운 단순군을 찾아내고 자신의 이름을 따 ‘리 군(Ree Group)’ (리 군(Lie group)과는 영문명칭이 다릅니다!)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그의 다양한 업적을 인정한 프랑스의 세계적인 수학자 장 디외도네(Jean Di ...
-
- [SF 소설] 생명의 노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상태에서 무작위 탐사가 수천 번이나 이루어졌고, 용감한 사람들이 희생한 결과 인간은 새로운 세상을 여럿 찾아냈다. 그리고 지금에 이르러서는 일부 지역에 한해 일반인 대상의 관광이 가능해졌다. “아마 여기까지 오시는 게 쉽지 않으셨죠? 몇 년은 대기하셨을 텐데, 기다린 보람이 있으면 ... ...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까지 다섯 가지 맛을 느껴요. 최근에는 칼슘맛, 탄산맛 등 새로운 맛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지요. 우리가 맛을 느끼는 것은 혀 속의 아주 작은 기관인 미뢰 덕분이에요. 미뢰는 혀나 입천장, 인두(목구멍 부근), 후두(공기가 드나드는 통로)에 약 1만 개가 넓게 퍼져 ... ...
-
- [기획] 순간 포착! 과학 세상에 이런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사이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번개까지! 이 순간들을 포착해서 보면 눈에 보이지 않던 새로운 세상이 보여. 그 순간들을 지금부터 감상해 보자!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순간 포착! 과학 세상에 이런 일이Part1.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Part2.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Part ... ...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표준모형 너머의 이론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며 “초대칭이론이나 암흑물질, 또는 새로운 입자가 이를 설명해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뮤온 자기모멘트 측정 실험은 총 5차까지 계획돼 있다. 이번 논문에는 전체 데이터의 6%에 해당하는 1차 실험결과만 담겨있고 2, 3차 실험은 분석 중, ... ...
-
- 한없이 완벽에 가까운 천연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일반적이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착색제는 30일 이상 푸른색을 유지했다. 시걸 교수는 “새로운 착색제를 실생활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P2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현재 적양배추에 들어있는 다른 안토시아닌(P6, P7, P8)을 가수분해해 P2로 전환하는 효소를 찾는 ... ...
-
- [특집] 인류 진화의 잃어버린 퍼즐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년 전, 아프리카에서 한 무리의 새로운 영장류가 나타났다. 이들은 이후 다양한 종을 등장시키며 아프리카 곳곳에 살았고, 때론 아프리카 밖 유라시아로 확산했다. 이들을 일컫는 ‘호미닌’의 등장은 우리가 속한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호미닌의 구체적인 관계와 ... ...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지니고 있었다. 정확한 정체는 알 수 없었지만, 연구팀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앞선 새로운 호미닌의 흔적일 가능성을 제시하며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Sahelanthropus tchadensis)라고 이름 붙였다. doi: 10.1038/nature00879 두개골로 본 이족보행의 흔적당시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전 인류의 조상은 약 40 ... ...
-
- 호모 속의 기원...턱뼈를 남기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afarensis)를 비롯한 영장류의 턱뼈 화석과 비교했다. doi: 10.1126/science.aaa1343 ● 새로운 호모 조상은 석기 전문가였을까? 큰 돌의 가장자리를 깨 날카롭게 만들어 찍개로 사용하는 올도완 석기가 처음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는 약 260만 년 전이다. 이때는 아직 호모 하빌리스가 등장하기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