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실망으로 바뀌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이스라엘 테크니온이스라엘공대
생물학
과 엘리저 리프쉬츠 교수팀은 2006년 4월 18일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 토마토에서 FT에 해당하는 유전자인 SFT의 mRNA가 이동하는 현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그 뒤 닐슨 교수는 ... ...
내 얼굴이 홍당무처럼 빨개진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경고하기 위해 몸이 스스로 유전적 변이를 일으켰다고 생물의학 저널인 ‘BMC 진화
생물학
’ 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따라서 술을 마셨을 때 얼굴이 붉어지는 성향은 유럽인보다 아시아인에게 더 크게 나타난다고 추정할 수 있다.얼굴 빨개지는 현상도 병일 수 있어 부끄럽거나 화가 나지 않은 상태는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관리자인 미국과학자연맹의 멜라니 스테그맨 박사는“게임을 통해 학생들이 분자
생물학
을 비롯한 과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며“게임으로 동기부여를 받은 학생이 비슷한 게임을 개발해 배포하는 사례도 있다”고 소개했다.기업들도 직원교육을 목적으로 기능성 게임을 도입하는 분위기다.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따라 인격과 인생이 결정된다고 생각했다. 이것을 ‘빈 서판’이론이라고 한다. 하지만
생물학
과 유전학이 발달하면서 지능이나 성격이 태어날 때부터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DNA가 동일한 쌍둥이 형제는 완전히 다른 환경에 입양돼 자라더라도 신념이나 행동이 매우 유사하다는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전 누군가에게 화장품을 선물로 받아들고 들어온 아내가 대뜸 질문을 던졌다. 학교에서
생물학
을 공부했거나 줄기세포 마니아가 아닌 다음에야 한번쯤 제기해볼 만한 의문이다. 윤리 논란을 차치하면 줄기세포의 막강한 영향력을 신봉하고 있는 요즘 같은 세태엔 더 그렇다. 줄기세포 성분이 ... ...
얼굴 기억 못하는 건 조상 탓?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공동 연구팀은 사람 얼굴을 구분하는 능력이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지능과는 관계없다고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1월 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베이징에 사는 7~19세의 일란성 쌍둥이 102쌍과 이란성 쌍둥이 71쌍을 모아 타인의 얼굴을 기억하는 능력이 얼마나 서로 다른지를 조사했다.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말했다.이번 행사를 주관한 한국연구재단 융합과학단 박선희 단장은 미국 하버드대
생물학
자 에드워드 윌슨의 저서 ‘통섭(Consilience)’의 구를 인용하며 융합과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환경이나 인구과잉처럼 우리가 부닥치는 대부분의 문제는 자연과학적 지식과 인문·사회적 지식이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문어가 코코넛 껍데기를 들고 다니며 도구로 쓰는 모습이 처음으로 포착됐다. 무척추동물인 문어가 도구를 사용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 자연선택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2월 14일 발행된
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일대는 지금까지도 아귀찜의 중심지로 남아 있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
생물학
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카스피호랑이의 DNA를 분석한 결과 시베리아호랑이의 DNA와 일치한다는 연구 결과를
생물학
저널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에 발표했다.또 지난 12월 16일에는 국립생물자원관에서 100년 된 남한호랑이 박제의 DNA를 분석해, 그동안 시베리아호랑이와 같은 아종인 줄로만 알았던 남한호랑이가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