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자"(으)로 총 1,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 탄생 남과 여, 누가 먼저인가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있다. 바로 미토콘드리아 DNA(Mitochondrial DNA)이다.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하자.남자를 통해서, 혹은 여자만을 통해서 전달 계승되는 유전자의 분석과 그 결과의 확률 분석을 하면 현대 인류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좀 더 확실히 밝힐 수 있다.최근 ... ...
- 한국말로 지은 화성 금성 지명과학동아 l1995년 08호
- 금성과 화성의 지명과 그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고 우리와 관련된 것을 찾아보기로 하자.■ 화성/나주, 낙동계곡 최초로 화성의 클로스업 사진을 촬영한 것은 1965년 마리너 4호였지만, 스키아파렐리(Giovanni V. Schiaparelli)는 이미 19세기에 화성 주요 지형에 '아르카디아' 또는 '유토피아' 등과 같은 신화 ... ...
-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하게 감지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먼저 편의상 식물 동물 사람으로 나누어 생체시계가 존재한다는 증거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식물의 생체시계는 잎에 있다.식물의 잎은 낮에는 거의 수평상태이고 밤에는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위치가 달라진다. 이러한 사실은 기원전 4백년 알렉산더 대왕시대의 역사가인 안드로스틀로네스 ... ...
- 실험 통해 창의력 배양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중간부분에도 설치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좋아, 그 방법을 시도해 보기로 하자."겨울방학인데도 학생들은 실험에 여념이 없다. 주인공들은 올해 고교 2년생인 이진, 송현지, 박진주. 생물과목의 이순용 교사가 이들을 지휘하고 있다. 겨울방학도 반납한 채 이토록 실험에 몰두하고 있는 ... ...
- 2. 빛으로 생체시계 조절, 겨울에도 여름꽃 피운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현상 치료제로 활용 가능과학자들이 사람의 개일시계를 연구한 결과를 소개하기로 하자. 인체의 내부에는 스스로 유지되는 시계가 있으며 단순히 환경의 시간에 행동을 맞추어가는 것이 아니라 생체시계에 따라 행동이 조절된다는 것을 밝히려는 실험이다.연구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에 ... ...
- 곤충들의 짝짓기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암컷의 뒷머리나 앞가슴을 끼워 붙잡은 상태로 아직 교미가 이루어지기 전이다. 쉽게 말하자면 교미전 예비행동이다.이런 상태로 산란장소로 이동하여 적당한 장소에 이르면 풀잎이나 지면에 내려앉아 본격적인 교미가 시작된다. 이 지구상에서 살고 있는 곤충중 가장 독특한 환상의 하트형으로 ... ...
- PART3 차세대 항암제 택솔, 만병통치약인가?과학동아 l1995년 06호
- 택솔의 개발 과정을 따라가면서 이 항암제가 과연 어떠한 약제인지 살펴 보기로 하자. 1960년대 초반 미국의 국립암연구소는 새로운 항암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식물을 검색하기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현재도 진행중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신이 인간에게 내려 ... ...
- 1 제품고르기 전 반드시 A/S·매뉴얼 확인과학동아 l1995년 06호
- 다시 뒤집어야 한다. 이 대리는 정당한 자기의 권리를 주장해야 하는 것이다. 제품에 하자가 있을 때는 당연히 유지보수를 요구해야 한다. 이 대리의 카드결제 2백만원 속에는 A/S와 사후지원 서비스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이러한 정당한 권리 주장은 개발업체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세계적인 ...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있다. 암환자될 소지 큰 사람 찾아내발암유전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정상세포에 존재하는 유전자가 어떻게 발암유전자로 작용해 암을 일으키게 되는가, 또 이들 발암유전자의 평상시의 기능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이 당연히 떠오르게 된다. 대부분의 발암유전자는 변이가 ... ...
- 물리- 안전만점 나무젓가락 다리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수 있도록 해보자. 이용하는 나무젓가락 수는 적을수록 좋다. 적어도 30개는 넘지 않도록 하자. 만들기를 위한 도움말우리는 반달 모양 구조물을 아치형이라고 합니다. 이런 반달 모양의 아치형은 힘을 한 점에 집중시키지 않고 분산시키기 때문에 역학적으로 가장 견고합니다. 같은 부위를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