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
d라이브러리
"
혈액
"(으)로 총 1,73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알 수 있다.쿠사나기 소령의 능력 중 필자가 가장 부러웠던 것은 ‘체내 플랜트’였다.
혈액
중의 알코올을 수십초 내로 분해할 수 있다니, 음주 운전이나 숙취로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정말로 편리한 기능이 아닐 수 없다.그러나 기계를 통한 편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이 많은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알레르기를 일으킨다고 판정하고 개발을 중단한다.다음 단계로 알레르기 환자의
혈액
을 이용해 해당 유전자와의 항원·항체 반응을 시켜본다. 이를 통해 면역학적 분석을 거치는데, 필요하다면 환자의 피부실험이나 식이실험을 실시하기도 한다. 이 실험을 한 결과, 진행중인 연구가 중단된 사례가 ... ...
1. 전산유체역학이 추정한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조절해 최소연료로 최대효과가 나도록 설계하는데도 이용된다. 최근에는 인공장기 내의
혈액
흐름을 계산해 체내에 가장 적합한 인공장기를 만드는데 전산유체역학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특히 외국의 경우는 댐의 수문이 열렸을 때 방류되는 물의 흐름을 예측해 댐 설계에 전산유체역학 결과를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감식이 이뤄진다. 그러려면 뼈에 숨어있는 DNA를 추출해야 한다.뼈는 가운데 부분에
혈액
세포를 만들어내는 연한 조직인 골수와 단단한 뼈대를 구성하는 뼈기질로 돼 있다. 만약 신선한 뼈의 경우, 가운데의 골수로부터 DNA를 쉽게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골수는 사람이 사망하고 2-3일만 지나도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있다. 이 중 머리카락은 보통 약 10만개 정도로 수가 많고 채취하기가 가장 간편하다.
혈액
속의 마약 성분은 모근의 모구에 있는 모세혈관을 통해 머리카락이 될 세포로 유입된다. 세포에 필요한 영양물질처럼 세포질 속에 자리를 잡는 것이다.시간이 지나면서 세포가 각질화되면서 축적된 마약 ... ...
미지의 화합물 저축해 무한가치 창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마치 자본주의 사회의 돈과 같은 역할을 한다. 돈은 사회라는 거대한 생명체를 움직이는
혈액
과 같다. 어느 순간 돈의 흐름이 막히면 사회가 마비되듯 화합물의 공급(합성)과 수요(약효시험) 간에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신약연구는 중단될 수밖에 없다. 돈의 흐름을 조절하고 효율적인 투자를 통해 ... ...
겨울 되면 면역력 높이는 햄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여름처럼 15시간 정도를, 다른 그룹은 겨울처럼 9시간 정도 빛을 비췄다. 그리고 10주 후에
혈액
속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의 양을 측정했다. 그 결과 겨울처럼 일조량이 긴 그룹의 햄스터는 여름 조건의 햄스터보다 훨씬 많은 면역세포를 갖고 있었다.빌보 박사와 함께 연구한 오하이오주립대 피데우스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동맥경화지수는 비만 정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의 비만이
혈액
내 지방의 수준을 증가시켜 동맥경화증이나 심장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심각성을 보여주는 결과다.아동의 영양 불균형이 심각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소아 비만은 영양 과잉과 잘못된 식습관, 활동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따라서 마라톤 후반부에는
혈액
순환조절중추가 근육으로만
혈액
을 보내고 피부로는
혈액
을 보내지 않는 일이 벌어진다. 이로 인해 땀을 흘리지 못하고 체온이 급상승해 고체온증에 빠진다. 그 결과 정신기능에 혼동이 오므로 효과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없다.마라톤 후반부에 선수가 경기를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혈관이 발달된 큰 귀를 통해서도 체온조절을 한다. 귀에 분포한 여러 갈래의 혈관을 통해
혈액
을 많이 공급하면 열의 발산이 쉽게 이뤄질 수 있다. 때문에 체내 열생성이 증가할 때는 귀로의 혈류량이 증가하므로 이들 동물의 귀에서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반면 체내 열생성이 감소할 때 귀로 가는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